Home  
 
hearkoreaTV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국악 음반    
매체별 유성기음반(SP) | 10인치 장시간음반(LP) | 12인치 장시간음반(LP) | 컴팩트디스크(CD) | 카세트테입(MC) | 디지털오디오테입(DAT) | 릴테입(Reel Tape)
마이크로카세트테입(MCT) | VHS 비디오테입 | 8mm 비디오테입 | 6mm 비디오테입 | 레이저디스크(LD) | 시디롬(CD-Rom) | 디브이디(DVD) | 기타자료
장르별 단가 | 판소리 | 창극 | 가야금병창 | 거문고병창 | 산조독주 | 산조합주 | 산조기타자료 | 시나위독주 | 시나위합주 | 삼현육각 | 사관풍류 | 사물놀이
민요연주 | 봉장취 | 민속무용 반주음악 | 기타민속기악 | 정가 | 정악기악독주 | 정악기악합주 | 민요 | 불교음악 | 무속음악 | 민속놀이ㆍ연극 | 풍물
전통춤 | 신작국악

 
자료를 통해 본 박귀희 명인의 국악 인생<2>
  MIBOOK1104.jpg(사이즈:10.8KByte)
다음 글은 2011년 11월 5일 13:00~19:00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칠곡군교육문화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 가야금병창 인간문화재 박귀희 명인 추모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입니다.
노재명, “자료를 통해 본 박귀희 명인의 국악 인생” 『박귀희의 일생과 국악 활동』 논문집(서울: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1년) 3~95쪽.

자료를 통해 본 박귀희 명인의 국악 인생<2>
글/노재명(국악음반박물관 관장)

------------------------------ 목 차 --------------------------------
1. 생년월일, 고향, 가족 관계
2. 다양한 국악 학습
3. 국악 단체 활동
4. 공연·방송·영화 활동
5. 음반 취입, 중요무형문화재 활동, 각종 수상, 국악계 원로 활동
6. 국악 교육 공헌, 수제자 양성, 신작국악과 국악 악보화 작업, 별세
7. 박귀희 주요 약력자료 모음(12종)
8. 박귀희 관련 주요 증언자료 모음
  안비취·김소희·박봉선·김명환·김차돈·정철호·조순애·박송희·장송학·김효순·성우향·박후성·박홍남·박춘성·박옥진·안채봉·조도화·지수복·조통달·강정자·이옥천·지성자·안숙선·문재숙·이희숙·왕기석
9. 박귀희 음반 목록
  단가·판소리·가야금산조·가야금병창·민요, 유성기음반(SP)·10인치 장시간음반(LP)·12인치 장시간음반(LP)·컴팩트디스크(CD)·시디롬(CD-Rom)·릴테입(Reel Tape)·카세트테입(MC)·디지털오디오테입(DAT)·비디오테입(VHS)
10. 박귀희 주요 사진자료 모음(49종)
-------------------------------------------------------------------


9. 박귀희 음반 목록

○ 이는 국악음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박귀희 음반을 장르별 목록으로 정리한 것이다. 박귀희가 직접 노래 하고 가야금을 연주한 녹음만 여기 정리하였다.
○ 옛 신문, 광고 책자, 가사지 등 문헌에는 녹음된 것으로 적혀 있으나 실물을 입수하지 못한 경우에는 본 목록에서 제외했고 국악음반박물관에 실제 음반이 존재하는 것만 정리해 놓았다.
○ 본 목록에 정리된 것은 박귀희 총 음반량의 95% 가량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제품으로 발매된 것을 중심으로 하여 추산한 것이다.
○ 박귀희의 음반 상품, 비공개 육성 증언, 공연실황, 방송자료 등 박귀희 음반 기록매체 모두를 이 목록 정리의 대상으로 하였다.
○ 현재 고음반은 희귀한 것이 상당수 있으므로 이를 많은 사람들이 직접 접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실물을 보지 않더라도 이 목록으로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음반레이블, 음반표면, 표지, 가사지, 해설지에 적힌 중요한 사항을 모두 옮겨 놓았다. 오자가 있더라도 자료의 가치를 고려해서 원문 그대로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다만 띄어쓰기나 마침표, 괄호는 전체적인 통일성을 고려해 일부 수정했다.
○ 대개의 옛 국내 음반은 조잡하게 만들어진 관계로 연주자명, 곡명, 기획자, 표지 디자이너, 녹음시기, 발매시기 등이 기록돼 있지 않거나 불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요 사항인데 적혀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자가 확인 조사한 것을 근거로 해서 보충 설명해 놓았다.
○ 본 목록은 크게 단가, 판소리, 가야금산조, 가야금병창, 민요로 분류되어 있다. 각 항목마다 녹음 내용이 연대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 병창이 아닌 소리만으로 녹음된 박귀희의 단가는 1969년 단가집 음반(人間文化財와 名唱들의 南道唱 短歌集 其二, 南道 名唱:朴貴姬·金素姬·金如蘭·韓弄仙, 북:李正業, 지구레코드 LM-120258, 12인치 1LP 초판 / 케네디레코드 KL-1078, 12인치 1LP 재판)에 들어있는 <죽장망혜>, <초로인생> 녹음, 그리고 1976년 단가집 음반(唱:박귀희·신평일·신유경·성우향·조상현·안향련·한농선·조통달, 힛트레코드사 HSJ민9, 12인치 1LP / 現代音盤株式會社 HSJ가-민9, 1MC)에 들어있는 <초로인생>, <천하태평> 녹음이 기량, 음질 등의 면에서 박귀희 명인의 가장 대표적인 단가 표본이 되리라 생각된다.
○ 판소리 완창 음반의 경우는 박귀희가 1960년대 초반에 낸 흥보가 완창 녹음집(대흥부전 전편 창:박귀희, 킹·스타-레코-드 KSM-1126~1128, 10인치 3LP 3단 표지, 1960년대 초반 녹음 제작)이 판소리 역사상 최초의 판소리 완창 음반이다. 이 음반에 박귀희는 박록주제 흥보가를 남겼는데 요즘 불리는 박록주제 흥보가보다 이 음반의 박귀희 소리 진행 속도가 약간 빠르다. 이 박귀희 흥보가 음반에서 다소 아쉬운 것은 일부 음정이 안맞거나 불안한 점이다. 이는 박귀희가 박록주한테 흥보가를 배운 직후에 취입한 것이라 당시 박록주 흥보가 상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귀중하다. 이 음반에 간략하지만 <놀보 박타령>을 비롯한 흥보가 끝까지 담겨있는 점이 돋보이는데 <까투리타령>이 들어있다는 것이 독특하다.(박록주, 성우향의 놀보 박 타는 대목과 대부분 다르고 박초월 놀보 박 타는 대목과 일부 비슷함) <까투리타령>은 박귀희가 첨가해 넣은 것으로 보인다. 국극, 창극 활동을 많이 했던 박귀희 명인이 국극, 창극 음반을 남기지 않았다는 점이 특이하고 주목된다.
○ 참고로 국립문화재연구소에 박귀희의 판소리 심청가·흥보가 토막소리, 박귀희(가야금)·이명석(창)의 삼현육각-구음 녹음 등이 일부 보관되어 있으며 한국방송(KBS), 문화방송(MBC)에 박귀희의 국악 방송자료가 일부 남아있다.
○ 본 목록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정리되어 있으며 내용에 따라서 일부는 달리 기록하였다.
[기준] 장르
       명인 이름
       기록매체 구분
       녹음 내용(수록시간) 녹음시기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국악 음반자료 관리번호
       음반명, 음반사, 음반번호 등 음반 표지·레이블·가사지·해설지 원문
       * 녹음 내용에 대해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나 음반의 원문 기록이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올바로 잡아서 별도 명시
○ MISP-××××, MI10LP-××××, MI12LP-××××, MICD-××××, MICDROM-××××, MIREEL-××××, MIMC-××××, MIDAT-××××, MIVHS-××××는 현재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이 소장하고 있는 국악 관련 녹음과 동영상자료의 관리번호로서 각각 유성기음반(SP), 10인치 장시간음반(LP), 12인치 장시간음반(LP), 컴팩트디스크(CD), 시디롬(CD-Rom), 릴테입(Reel Tape), 카세트테입(MC), 디지털오디오테입(DAT), 비디오테입(VHS) 기록물을 나타내는 것이다.
○ 국악 유성기음반(SP)은 거의 모두 한면에 3분 가량 녹음이 수록되어 있으며 10인치 장시간음반(LP)은 한면에 10~15분 가량, 12인치 장시간음반(LP)은 한면에 15~30분 정도 녹음이 담겨있다. 컴팩트디스크(CD)는 최대 약 74분이 담길 수 있는데 수록 분량은 음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시디롬(CD-ROM) 또한 컴팩트디스크(CD)와 마찬가지로 수록 분량이 각 음반에 따라 차이가 많다.
  릴테입은 대체로 녹음 재생속도가 7½IPS이고 간혹 3¾IPS로 녹음된 것이 있으며 대부분 30~60분 가량씩 수록되어 있다. 디지털오디오테입(DAT), 비디오테입(VHS)은 주로 120분 테입이며 카세트테입(MC/비상품)은 대부분 60분 테입이다. 디지털오디오테입은 대부분 표준 재생속도(SP)로 녹음되었고 간혹 재생속도를 달리해 녹음된 것이 있다.(LP)
○ 박귀희가 북, 장고 반주 한 것은 본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임방울 특선곡’ 녹음집(신세기레코드주식회사 민1244, 12인치 1LP, 1950년대 녹음, 1960년대 후반 제작)에 수록된 <이화춘풍>에서 박귀희가 북반주를 맡은 점으로 보아 임방울과 밀접한 관계였던 박귀희가 임방울의 말년 소리의 북반주를 녹음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하겠다. 박귀희가 북반주를 맡은 임방울 명창의 <이화춘풍> 음원 등은 (사)임방울국악진흥회·동국대 등에 의해 ‘국창 임방울 판소리 대전집’ 음반(TOPCD-137-1~6, 6CD 박스물, 2010년 8월 30일 제작) 등으로 여러번 무단 복제되어 불법 제작된 바 있다. 박귀희는 1961년 3월 8일 작고한 임방울 명창 장례식 때 상여 위에서 김소희와 함께 만가를 부른 바 있다.35)  
○ ‘임방울 창극조 제1선집’ 음반(大韓國樂院 限定版 發行, 新世紀레코오드株式會社 SLN-10628, LN-50109~50112, 10인치 2LP, 1950년대 녹음, 1960년대 초반 제작 / 大韓國樂院 限定版 發行, 新世紀레코오드株式會社·新世界레코드社·힛트레코-드社 민1213-1~2, 민1234-1~2, 12인치 2LP, 1950년대 녹음, 1960년대 후반, 1976년 3월 15일, 1977년 9월 7일 제작)에는 적벽가 녹음 앞에 “지금은 적벽가를 허시겠습니다”라는 설명이 있는데 박귀희의 음성인 것으로 보인다.
○ 노재명 편저, 『20세기 국악 100년 자료집(1) 판소리 음반 사전』(서울:이즈뮤직, 2000년), 『20세기 국악 100년 자료집(2) 가야금병창·거문고병창 음반 사전』(경기 양평:국악음반박물관, 2000년), 『20세기 국악 100년 자료집(5) 한국 민요 음반 사전』(경기 양평:국악음반박물관, 2003년) 참고.

▶ 단가

박귀희
[Reel Tape]
■ 만고강산, 천하태평, 아서라 세상사, 천생아재 - 1950년대 녹음
●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관리번호 MIREEL-0051(기록용 녹음테입, 재생 속도:7½IPS)
A) 1-60.萬古江山(朴貴姬) 137-200.天下太平(朴貴姬) 200-270.아서라 世上事(朴貴姬) 355-440.天生아재(朴貴姬)
[SP]
■ 천생아재 - 1959~1960년 녹음
● MISP-1239
King Star K5931 短歌 천생아재 唱朴貴姬 演奏킹스타-國樂團
[10인치 LP]
■ 천생아재 - 1959~1960년 녹음
● MI10LP-0003~0004, MI10LP-0130, MI10LP-0146
南道民謠 第二輯 短歌 唱曲編 唱:朴初月·朴貴姬 伴奏:킹스타-國樂團
킹스타- KSM-1102(10인치 1LP), 1959~1960년 녹음 제작, 고수 성명 미상,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이 음반은 킹스타레코-드, 뉴-스타레코드, 힛트레코-드會社, 주식회사 예음사에서 여러번 재편집 발매됨.
[第一面] (四)天生我才(探景歌) 唱朴貴姬
[12인치 LP]
■ 천생아재 - 1959~1960년 녹음
● MI12LP-2109(재판, 초판:MI10LP-0003~0004/0130)
南道民謠集 第二集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 伴奏:킹스타-國樂團
King Star Records Mfg. Co. KSL-20008(1LP), 1959~1960년 녹음, 1960년대 재판 제작, 반주자 성명 미상,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이 음반은 킹스타레코-드, 뉴-스타레코드, 힛트레코-드會社, 주식회사 예음사에서 여러번 재편집 발매됨.
[第一面] (四)天生我才 唱:朴貴姬
■ 초로인생, 천하태평 - 1959~1960년 녹음
● MI12LP-0916
南道民謠選集 春香傳과 沈淸傳 中에서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韓弄仙·申惟京 伴奏:킹스타-國樂團
킹스타레코-드/뉴-스타레코드/힛트레코-드會社 KSL-20010 HEL-307(1LP, 재판), 1959~1960년 녹음, 1960년대 후반 제작,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第一面) (五)草露人生 唱朴貴姬
第二面) (五)天下泰平 唱朴貴姬
■ 천생아재, 초로인생 - 1959~1960년 녹음
● MI12LP-0977
南道民謠選集 第三集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申惟京 伴奏:킹스타-國樂團
킹스타레코-드/뉴-스타레코-드會社/힛트레코-드會社 NS-60021(1LP, 재판), 1959~1960년 녹음, 1968년 9월 1일 제작 발매,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南道民謠選集 第一~三集’ 음반 앞표지에는 차례로 박귀희, 박초월, 성우향의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이 음반은 ‘南道民謠 第一~三輯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申惟京 伴奏:킹스타-國樂團’(킹스타- KSM-1101~1103, 10인치 3LP) 등(SP)의 재편집 재발매 녹음집이다. 이 녹음은 1990년 1월 15일 주식회사 예음사에서 ‘남도민요 제1~2집’ 카세트테입(YS-0115·0117, 2MC)에 재편집 수록 제작됨.
[第一面] (六)天生我才(探景歌) 唱朴貴姬
[第二面] (六)草露人生 唱朴貴姬
■ 죽장망혜, 초로인생 - 1969년 녹음
● MI12LP-0586~0587
人間文化財와 名唱들의 南道唱 短歌集(其一~二)
창:박록주·김여란·김연수·박초월·김소희·박귀희·성우향·한농선, 고수:이정업.
地球레코-드公社 LM-120258(2LP, 초판) 1969년 녹음, 1969년/1971년/1972년 2월 10일 제작.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음반 가격:1장당 260원. 뒷표지에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이 음반은 1970년 무렵에 케네디레코드에서 재발매되었고(KL-1077~1078, 2LP, 재판) 1996년에는 지구레코드에서 재발매됨(JCDS-0525~0526, 2CD, 삼판).
[2집] SIDE 1) 1.竹杖芒鞋(4:55)(JR 2647) 朴貴姬  SIDE 2) 2.草露人生(3:40)(JR 2652) 朴貴姬
■ 죽장망혜, 초로인생 - 1969년 녹음
● MI12LP-1615
韓國 唯一의 短歌集 二集 KOREAN FOLK SONGS(TAN KA)
南道 名唱:朴貴姬·金素姬·金如蘭·韓弄仙, 북:李正業.
KENNEDY RECORDS Co. Seoul Korea(케네디레코드) KL-1078(1LP, 재판), 1969년 녹음, 1970년 무렵 제작. 음반 레이블에는 ‘KL-1079~1080’으로 기록되어 있음. 뒷표지에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1969년 지구레코드에서 제작된 ‘人間文化財와 名唱들의 南道唱 短歌集(其二)’ 음반(LM-120258, 1LP, 초판)에 수록된 녹음과 동일함.
第一面) 1.죽장망혜(竹杖芒鞋) 朴貴姬
第二面) 2.초로인생(草露人生) 朴貴姬
■ 초로인생, 천하태평 - 1976년 녹음
● MI12LP-0663
KOREAN FOLK SONGS 短歌
唱:박귀희·신평일·신유경·성우향·조상현·안향련·한농선·조통달
힛트레코드사 HSJ민9(1LP/초판), 1976년 녹음 제작. 뒷표지에 단가 <강상풍월>, <천생아재>, <편시춘>, <운담풍경>, <호남가> 사설 수록. 고수 성명 미상. 앞표지에 조상현의 사진이 실려있음. 이 음반은 1984년 5월 30일 현대음반주식회사에서 카세트테입(HSJ가-민9, 1MC/재판)으로 재발매됨.
앞면) 5.박귀희 초로인생(3132)
뒷면) 3.박귀희 천하태평(3136)
[MC]
■ 초로인생, 천생아재 - 1959~1960년 녹음
● MIMC-0871~0881
TRADITIONAL FOLK SONGS OF KOREA 韓國民謠大全集(부록:古典舞踊曲 및 時調唱)
前國立國樂院長 成慶麟先生 監修
도서출판 소리출판사 발행, 아카데미음향제작소 제작, 서라벌레코오드사 제조 SAM-6001~6014, AM-3001~3014(14MC 박스물/재편집 테입), 1978년 4월 27일 제작, 1978년 5월 7일 발매. 심의번호:7804-2158~2267. 해설서(총 119쪽) 내장. 판매가:3만원. 이 전집은 같은 시기, 동일 회사에서 장시간음반(12인치 14LP 박스물)으로도 제작되었다. 이 전집물은 1950년대 후반~1978년에 킹스타, 신세기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녹음, 제작된 음반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7집] SIDE A) 6.초로인생(唱:朴貴姬)  SIDE B) 6.천생아재(唱:朴貴姬)
■ 천생아재 - 1959~1960년 녹음
● MIMC-0608
南道民謠 제2집
주식회사 예음사 YS-0117(1MC/재편집 테입), 1990년 1월 15일 제작. 총 60분 수록. 이는 1959~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녹음, 제작된 여러 음반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SIDE B) 6.천생아제(→천생아재)(7802-748)(박귀희 창)
■ 천생아재 - 1959~1960년 녹음
● MIMC-1037~1038
KOREAN FOLK SONGS 인간문화재 남도 3명창 박초월·박귀희·성우향(1)~(2)
NAMDO 3 GREAT SINGERS SUNG by PARK CHOWOL PARK GUIHEE SUNG WOOHYANG
대도레코드사 제작·발매, 제품번호 없음(2MC 박스물), 1968년/1995년 제작. 기획:이무성. 이 카세트테입은 1959~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녹음, 제작된 여러 장시간음반(LP)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제2집] SIDE B(22:27) 7.천생아재(탐경가)(3:20)(박귀희 창, 고수 성명 미상)
■ 초로인생, 천하태평 - 1976년 녹음
● MIMC-0731
단가집
唱:박귀희·신평일·신유경·성우향·조상현·안향련·한농선·조통달
現代音盤株式會社 HSJ가-민9(1MC), 1976년 녹음, 1984년 5월 30일 제작. 이 카세트테입의 초판은 1976년에 제작된 ‘KOREAN FOLK SONGS 短歌’ 음반(힛트레코드사 HSJ민9, 1LP)이다. 고수 성명 미상. 앞표지에 조상현의 사진이 실려있음.
face A) 5.박귀희 초로인생(3132)
face B) 3.박귀희 천하태평(3136)
[CD]
■ 죽장망혜, 초로인생 - 1969년 녹음
● MICD-0164
전통음악시리즈 제14집 短歌集(2)
소리:박귀희·김소희·한농선·김여란 고수:이정업
지구레코드 JCDS-0526(1CD/재판), 1969년 녹음, 1996년 제작. 본 음반은 1969년/1971년/1972년 2월 10일 地球레코-드公社에서 제작된 ‘人間文化財와 名唱들의 南道唱 短歌集(其二)’ 녹음집(LM-120258, 1LP/초판)을 재편집, 재발매한 것이다. 총 12쪽짜리 해설서(글·사설 채록:정창관) 내장.
박귀희 1.죽장망혜(4:53) 2.초로인생(백발가)(3:27)
[VHS]
■ 백구타령 - 1980년대 후반 녹음·촬영
● MIVHS-0393(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8.5.12.20:20~21:00.아리랑TV. Sound & Motion
3.명인명창열전-박귀희(옛 사진자료 수록) 5.박귀희 단가 <백구타령> 지도 장면 영상자료(1980년대 후반) 수록.

▶ 판소리

박귀희
[10인치 LP]
■ 판소리 흥보가 완창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10LP-0240~0242
大興夫傳 全集 唱:朴貴姬 長鼓:李正業
킹·스타-레코-드 KSM-1126~1128(10인치 3LP 3단 표지), 1960년대 초반 녹음 제작. <놀보 박타령>을 포함한 판소리 흥보가 전바탕 사설 인쇄 수록. 이는 1960년대 후반에 12인치 장시간음반(King Star Records Mfg. Co. KSL-20022~20024, 3LP)으로 재발매된 바 있음. 음반 뒷표지에는 ‘長鼓:李正業’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는 북 반주로 녹음되었음.  
[VHS]
■ 영화 ‘효녀 청이’(신상옥 감독, 창:박귀희) - 1972년 녹음
● MIVHS-0772
영화 ‘효녀 청이’(신상옥 감독, 창:박귀희) 비디오테입
(주)삼부프로덕숀 제작, 제품번호 없음(1VHS), 1972년 제작 영화, 1972년 11월 17일 개봉, 1990년 7월 5일 비디오테입 제조. 공윤심의필 심의번호:8302-V57. 총 90분. 2008년 5월 20일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구입.
출연:윤정희·김성원·신성일·최은희·도금봉·이경희·최성호·정애란·송미남·김웅·김기범·김경란·조덕성·주일몽·석인수·김지영·이기영·장춘언·장정국·이운규·이승일·최민규·박석순·곽선우.
창:박귀희, 감독:신상옥, 각본:이상현, 제작사:안양영화, 촬영:최승우, 조명:마용천, 편집:김현, 음악:정윤주, 미술:박석인, 소품:김효섭, 의상:김문자, 분장:채훈, 사운드(음향):유창극·심재훈, 조감독:이장호, 스틸:박승택, 촬영팀:최석주, 조명팀:강상룡, 장치:김용하, 안무:임성남, 제작부장:박영태, 협찬:안양영화예술학교.
[Reel Tape]
■ 판소리 흥보가 중 가난타령부터 박 타는 대목까지 - 1977년 11월 26일 공연 실황 녹음
● MIREEL-0040
국립창극단 공연-판소리 정기 감상회 실황 녹음
매월 마지막 토요일 오후 3시 국립극장 소극장.
1977년 11월 26일(고수:박후성·강종철) 興甫歌 3.朴貴姬 가난타령부터 박 타는 대목까지

▶ 가야금산조

박귀희
[VHS]
■ 가야금산조 - 동영상 촬영시기 미상  
● MIVHS-0393(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8.5.12.20:20~21:00.아리랑TV.Sound & Motion
6.박귀희 가야금산조(장고:김득수) 연주 장면 영상자료

▶ 가야금병창

박귀희
[Reel Tape]
■ 단가 녹음방초, 민요 골패타령, 단가 죽장망혜, 춘향가 중 사랑가 - 1950년대 녹음
● MIREEL-0051(기록용 녹음테입, 재생 속도:7½IPS)
A) 1020-1140.綠陰芳草(朴貴姬) 竝唱
B) 80-160.골패타령(朴貴姬) 竝唱 160-260.竹杖芒鞋(朴貴姬) 竝唱 260-330.春香傳 사랑가(朴貴姬) 竝唱
[SP]
■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 1959~1960년 녹음
● MISP-1239
King Star K5932 唱劇調 톡기타령中 水宮歌 唱朴貴姬 演奏킹스타-國樂團
■ 단가 녹음방초 - 1959~1960년 녹음
● MISP-0294, MIDAT-0292(MISP-0294)
King Star K5941 民謠 가야금倂唱(下) ···녹음방초··· 唱朴貴姬 演奏킹스타-國樂團
■ 춘향가 중 사랑가 - 1959~1960년 녹음
● MISP-0294, MIDAT-0292(MISP-0294)
King Star K5942 民謠 가야금倂唱(上) 春香歌中 사랑가 唱朴貴姬 演奏킹스타-國樂團
[10인치 LP]
■ 춘향가 중 사랑가 - 1959~1960년 녹음
● MI10LP-0082·0094
南道民謠選集 春香傳과 沈淸傳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韓弄仙·申惟京 演奏:킹스타-民俗國樂團
킹스타- KSM-1086(10인치 1LP), 1959~1960년 녹음 제작. 이 음반은 킹스타, 뉴스타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재편집하여 여러번 재발매함.
[第一面] 春香傳 中에서 (1)사랑歌 朴貴姬
■ 단가 녹음방초 - 1959~1960년 녹음
● MI10LP-0002
南道民謠 第一輯 唱曲編 唱:朴初月·朴貴姬 伴奏:킹스타-國樂團
킹스타- KSM-1101(10인치 1LP), 1959~1960년 녹음 제작, 고수 성명 미상,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이 음반은 킹스타레코-드, 뉴-스타레코드, 힛트레코-드會社, 주식회사 예음사에서 여러번 재편집 발매됨.
[第一面] (一)녹음방초 唱朴貴姬(→ 가야금병창)
■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 1959~1960년 녹음
● MI10LP-0003~0004
南道民謠 第二輯 短歌 唱曲編 唱:朴初月·朴貴姬 伴奏:킹스타-國樂團
킹스타- KSM-1102(10인치 1LP), 1959~1960년 녹음 제작, 고수 성명 미상,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이 음반은 킹스타레코-드, 뉴-스타레코드, 힛트레코-드會社, 주식회사 예음사에서 여러번 재편집 발매됨.
[第一面] (三)水宮歌(토끼타령) 唱朴貴姬(→ 가야금병창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녹음 수록)
■ 단가 녹음방초,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가자 어서 가, 민요 골패타령, 단가 죽장망혜, 수궁가 중 고고천변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10LP-0100
朴貴姬 가야금倂唱의 精華
킹·스타-레코-드 KSM-1129(10인치 1LP), 1960년대 초반 녹음 제작. 이 녹음집은 1960년대~1970년대 뉴-스타레코-드會社, 힛트레코드사 등에서 12인치 장시간음반(LP)으로 여러번 재편집, 재발매된 바 있다. 앞표지에 박귀희 사진, 뒷표지에는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장고:李正業.
[第一面] (一)녹음방초(綠陰芳草) (二)사랑가(春香傳 中에서) (三)가자(水宮歌 中에서)
[第二面] (一)골패타령(骨牌打令) (二)죽장망혜(竹杖芒鞋) (三)高高天邊(水宮歌 中에서)
■ 민요 꽃타령, 춘향가 중 사랑가 - 1963년 녹음
● MI10LP-0145
アリラン 아라랑 ARIRAN 韓國民謠
李殷官·高白花·合唱團. 伴奏:チャング(長鼓)·ピリ(피리)·伽倻琴
朴貴姬·合唱團. 伴奏:チャング(長鼓)·ピリ(피리)·伽倻琴
Nippon Columbia Co., LTD. ALS-199(10인치 1LP), 1963년 STEREO 녹음, 1963년 7월 제작. 앞표지 앞줄 왼쪽부터 차례로 이은관, 박귀희, 뒷줄 왼쪽부터 차례로 미상(여자), 고백화, 미상(여자), 미상(여자) 사진(CAMERA:MIKI TAKAGI/H635S) 수록. 발매 당시 음반 판매 가격:1,200엔. 뒷표지에 곡목 해설(解說:金坡禹)이 실려있음.
第二面(FS 269) 2.꽃타령(朴貴姬) 4.사랑가(春香傳中)(朴貴姬)
[12인치 LP]
■ 단가 녹음방초, 민요 골패타령 - 1959년 녹음
● MI12LP-0184(KBC-18), MI12LP-0185(KBC-15)
각도민요-ANTHOLOGY OF KOREAN TRADITIONAL MUSIC(Vol.1)
대한방송협회(KBC)/공보실레코드제작소 KBC-12·15~19(6LP 박스물), 1959년 녹음 해외 소개용 음반, 1960년 무렵 제작.
[KBC-18] 各道民謠-Antholog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IDE 1) 2.Nok-um Bang-cho(Introduction to long dramatic song with Kayako accompaniment) Sung and played by PARK, Kwi-hi
* 박귀희 가야금병창 단가 <녹음방초> 녹음 수록.
SIDE 2) 6.Kol-pae Taryong("Dice Song" with kayako accompaniment) Sung and played by PARK, Kwi-hi
* 박귀희 가야금병창 민요 <골패타령> 녹음 수록.
[KBC-15] 南道民謠-Traditional Music of Southern Korea
SIDE 1) 2.Nok-um Bang-cho(Introduction to long dramatic song with Kayako accompaniment) Sung and played by PARK, Kwi-hi
* 박귀희 가야금병창 단가 <녹음방초> 녹음 수록.
5.Kol-pae Taryong("Dice Song" with Kayako accompaniment) Sung and played by PARK, Kwi-hi
* 박귀희 가야금병창 민요 <골패타령> 녹음 수록.
■ 단가 녹음방초, 민요 골패타령 - 1959년 녹음
● MI12LP-0737
TRADITIONAL MUSIC OF SOUTHERN KOREA(우리 노래의 香氣-남도민요)
오아시스레코드社 OL-1001(1LP/재판), 1959년 녹음, 1960년대 중반 제작. 이 음반의 초판(KBC-15)은 1959년에 대한방송협회(KBC)/공보실레코드제작소에서 제작됨.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음반 가격:300원. 앞면 2번 곡 단가 <녹음방초>와 5번 곡 민요 <골패타령>은 박귀희의 가야금병창 녹음이다. 음반 뒷표지에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다.
Side 1) 2.녹음방초 5.골패타령
■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 1959~1960년 녹음
● MI12LP-2109(재판, 초판:MI10LP-0003~0004/0130)
南道民謠集 第二集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 伴奏:킹스타-國樂團
King Star Records Mfg. Co. KSL-20008(1LP), 1959~1960년 녹음, 1960년대 재판 제작, 반주자 성명 미상, 음반 뒷표지에 가사 수록. 이 음반은 킹스타레코-드, 뉴-스타레코드, 힛트레코-드會社, 주식회사 예음사에서 여러번 재편집 발매됨.
[第一面] (三)水宮歌 唱:朴貴姬
■ 춘향가 중 사랑가 - 1959~1960년 녹음
● MI12LP-0916
南道民謠選集 春香傳과 沈淸傳 中에서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韓弄仙·申惟京 伴奏:킹스타-國樂團
킹스타레코-드/뉴-스타레코드/힛트레코-드會社/아세아레코드 KSL-20010 HEL-307(1LP, 재판), 1959~1960년 녹음, 1960년대 후반 제작, 앞표지에 박초월의 사진, 뒷표지에는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앞면 1번 곡 춘향가 중 <사랑가>는 박귀희의 가야금병창 녹음이다.
第一面) (一)사랑歌 唱朴貴姬
■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단가 녹음방초 - 1959~1960년 녹음
● MI12LP-0559
南道民謠選集 第1集 春香傳 中에서 사랑歌와 離別歌
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 伴奏:뉴-스타-國樂團.
뉴-스타레코-드社 NS-60019(1LP), 1959~1960년 녹음, 1968년 9월 1일 제작 발매. 음반 레이블에는 ‘三和레코드公社 製作 NS-60019’라는 기록이, 음반 표면에는 ‘NS-60019~60020, SH-12027-6-A·B’라는 기록이 있음. 1959~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제작된 10인치 장시간음반(LP)의 재편집반임. 이 음반은 킹스타, 삼화레코드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재편집하여 여러번 재발매함.
[第一面] (一)사랑歌 朴貴姬(→ 가야금병창) (六)토끼打鈴 朴貴姬(→ 가야금병창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녹음 수록)
[第二面] (三)녹음방초 朴貴姬(→ 가야금병창)
■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단가 녹음방초 - 1959~1960년 녹음
● MI12LP-1616
南道民謠選集 第1集 사랑歌와 離別歌(唱:朴初月·朴貴姬·成又香)
大亞音盤公社 NS-60019(1LP), 1959~1960년 녹음, 1960년대 후반 제작. 이 음반은 킹스타, 뉴스타, 삼화레코드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재편집하여 여러번 재발매함. 1968년 뉴스타레코드사에서 제작된 ‘南道民謠選集 第1集’ 음반(NS-60019, 1LP)과 앞표지만 다르고 녹음은 동일함.
[第一面] (一)사랑歌(200) 朴貴姬(→ 가야금병창) (六)토끼打鈴(205) 朴貴姬(→ 가야금병창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녹음 수록)
[第二面] (三)녹음방초(208) 朴貴姬(→ 가야금병창)
■ 단가 녹음방초,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가자 어서 가,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 민요 골패타령, 단가 죽장망혜, 수궁가 중 고고천변, 민요 보리타작(옹해야), 칠석놀이 - 1960년경 녹음
● MI12LP-0441·1505(초판), MI12LP-0442·2474(재판), MI12LP-0443·1507(삼판)
朴貴姬 가야금倂唱의 精華(초판), 가야금倂唱 唱朴貴姬(재판), 인간무형문화재 제23호 朴貴姬 伽倻琴倂唱集(삼판)
King Star Records Mfg.Co.(초판) 뉴-스타레코-드會社(재판) 힛트레코드사(삼판) KSL-20011(1LP/초판), NS-60022(1LP/재판), HSJ민5(1LP/삼판), 1960년경 녹음, 1960년대 후반 12인치 장시간음반(LP) 초판 제작, 1970년대 초반 12인치 장시간음반(LP) 재판 제작, 1970년대 중반 12인치 장시간음반(LP) 삼판 제작. 초판~삼판의 표지 디자인이 모두 다름. 이 녹음집은 1960년경에 킹스타레코드에서 제작된 여러종의 10인치 장시간음반(LP)들 가운데 박귀희 가야금병창 녹음을 한데 모아 재편집한 것임. 초판과 재판의 앞표지에 박귀희 사진, 뒷표지에는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삼판의 앞표지에 박귀희와 그의 여자 제자 4명(김성녀 외) 사진, 뒷표지에는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장고:李正業).
* 초판/재판
[第一面] (一)녹음방초 (二)사랑歌 (三)가자(→ 수궁가 중 가자 어서 가) (四)쾌지나 칭칭나네
[第二面] (一)골패타령 (二)죽장망혜 (三)高高天邊 (四)보리타작 (五)七夕놀이
* 삼판
SIDE A) 1.녹음방초(綠陰芳草) 短歌(4305) 2.사랑가(春香歌中에서)(4306) 3.어서 가자(水宮歌中에서)(4304) 4.쾌지나 칭칭나네(4301)
SIDE B) 1.골패타령(骨牌打令)(4307) 2.죽장망혜(竹杖芒鞋) 短歌(4308) 3.고고천변(水宮歌中에서)(4303) 4.보리타작(옹해야)(4302) 5.七月놀이(→ 칠석놀이)
■ 단가 녹음방초(5:50), 춘향가 중 사랑가(9:00), 민요 골패타령(4:00), 단가 죽장망혜(6:00), 흥보가 중 도사가 집터 잡는 데(13:00)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12LP-0439(초판), MI12LP-0440(재판)
가야금倂唱 唱朴貴姬
新世紀蓄音機株式會社(초판) 新世界레코드社(재판) 민1241(1LP), 1960년대 초반 녹음, 1960년대 후반 12인치 장시간음반(LP) 초판 제작, 1971년 2월 23일 12인치 장시간음반(LP) 재판 제작. 초판과 재판의 표지 디자인이 다름. 이 녹음집은 1960년대 초반에 新世紀蓄音機株式會社에서 제작된 여러종의 10인치 장시간음반(LP)들 가운데 박귀희 가야금병창 녹음을 한데 모아 재편집한 것임. 앞표지에 박귀희 사진, 뒷표지에는 수록곡 사설이 실려있음.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SIDE 1) 1.녹음방초(綠陰芳草) 短歌(SL 1439)(5:50) 2.사랑가(春香歌中에서)(SL 1442)(9:00) 3.골패타령(骨牌打令)(SL 1467)(4:00)
SIDE 2) 1.죽장망혜(竹杖芒鞋) 短歌(SL 1441)(6:00) 2.도사(道士)가 집터 잡는 데(興甫歌中에서)(SL 1440)(13:00)
■ 단가 녹음방초, 흥보가 중 도사가 집터 잡는 데, 단가 죽장망혜, 춘향가 중 사랑가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12LP-0221~0250(30LP)
國樂大全集
新世紀레코오드株式會社 민1240-1~30(30LP 박스물), 1968년 제작, 32쪽/691쪽 해설서 각각 1권씩 포함.
[제27집] 가야금倂唱(倂唱:朴貴姬)
앞면) 1.녹음방초 2.興甫傳中(道士가 집터 잡는 데)
뒷면) 1.죽장망혜 2.사랑가
이 음반은 1960년대~1970년대 新世紀레코오드株式會社/新世界레코드社/힛트레코드에서 제작된 ‘가야금倂唱 唱朴貴姬’ 녹음집(민1241, 12인치 1LP)을 재편집한 것임.
■ 단가 녹음방초, 흥보가 중 도사가 집터 잡는 데, 단가 죽장망혜, 춘향가 중 사랑가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12LP-1709
민요잔치 각도민요전집(國樂大全集 第三輯)
힛트레코드사 민1240-21~30(10LP 박스물), 1960년대 초반 녹음, 1973년 8월 1일 제작. 이 전집물은 1960년대 신세기레코드사에서 녹음 제작된 여러 국악 음반들 가운데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제27집] 가야금倂唱(倂唱:朴貴姬)
Side 1) 1.녹음방초 2.興甫傳中(道士가 집터 잡는 데)
Side 2) 1.죽장망혜 2.사랑가
이 음반은 1960년대~1970년대 新世紀레코오드株式會社/新世界레코드社/힛트레코드에서 제작된 ‘가야금倂唱 唱朴貴姬’ 녹음집(민1241, 12인치 1LP)을 재편집한 것임.
■ 적벽가 중 조자룡 활 쏘는 데, 단가 죽장망혜 - 1964년 10월 5일 녹음
● MI12LP-1457
韓國 名唱 第一集 唱:朴貴姬·金素姬
美都波레코-드會社 LM-120044(1LP), 1964년 10월 5일 녹음, 1964년 제작. 이 음반은 이후 지구레코드(美都波레코-드會社의 후신)에서 여러번 재편집 제작 재발매됨.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뒷표지에 사설과 김소희·박귀희 약력·사진 수록. 고수 성명 미상.
SIDE 2) 唱:朴貴姬 1.조자룡이 활 쏘는 데(伽倻琴倂唱) 2.短歌 죽장망혜(伽倻琴倂唱)
■ 단가 녹음방초(5:52),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2), 단가 죽장망혜(6:03), 호남가(3:14), 백발가(3:17) - 1964년 10월 녹음
● MI12LP-0479
한국의 음악 시리즈 2집
한국의 민속음악(KOREAN FOLK MUSIC) 사물놀이·가야금병창
지구레코드 JLS-1202187(1LP), 1988년 8월 20일 제작. 국·영문 해설지(2쪽) 별첨 내장. 뒷면에 수록된 모든 곡은 박귀희의 가야금병창 녹음이다.(1964년 10월 녹음,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이 녹음집의 가야금병창은 1988년 8월 13일 지구레코드에서 제작된 ‘인간문화재 23호(가야금병창) 박귀희’ 음반(JLS-1202198, 1LP)에 수록되어 있는 녹음 가운데 일부를 발췌하여 재편집한 것이다.
SIDE B(Total Time/23:30) 1.녹음방초(5:52)(8806-5719)(민요) 2.제비노정기(5:42)(8806-5720)(민요) 3.죽장망혜(6:03)(8806-5723)(민요) 4.호남가(3:14)(8806-5725)(민요) 5.백발가(3:17)(8806-5727)(민요)
■ 단가 녹음방초(5:52),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2), 단가 청석령 지나갈제(3:40), 춘향가 중 사랑가(9:00), 단가 죽장망혜(6:03), 적벽가 중 조자룡 활 쏘는 데(8:45), 단가 호남가(3:14), 민요 골패타령(4:00), 단가 백발가(3:17) - 1964년 10월 녹음
● MI12LP-0447
National Living Treasure(Kayagum Byungchang) 인간문화재 23호(가야금병창)
PARK KUI HEE 박귀희
지구레코드 JLS-1202198(1LP), 1964년 10월 녹음, 1988년 8월 13일 제작. 뒷표지에 박귀희 약력 수록. 이 녹음집은 1964년에 녹음 제작된 ‘韓國 名唱 第一~二集 唱:朴貴姬·金素姬’ 음반(美都波레코-드會社 LM-120044~120045, 2LP)에 수록된 박귀희 가야금병창을 한데 모아 재편집한 것임.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앞면) 1.녹음방초(5:52)(8806-5719) 2.제비노정기(5:42)(8806-5720) 3.청석령 지나갈제(3:40)(8806-5721) 4.사랑가(9:00)(8806-5722)
뒷면) 1.죽장망혜(6:03)(8806-5723) 2.자룡이 활 쏘는 대목(8:45)(8806-5724) 3.호남가(3:14)(8806-5725) 4.골패타령(4:00)(8806-5726) 5.백발가(3:17)(8806-5727)
■ 수궁가 중 고고천변, 심청가 중 화초타령 - 1960년대 초~중반 녹음
● MI12LP-0357
KOREAN FOLK MUSIC(12인치 3LP 박스물)
OASIS OL-12411-1(1LP), 1960년대 초~중반 녹음 제작. 박귀희(가야금병창) 고수(성명 미상) 수궁가 중 <고고천변>, 심청가 중 <화초타령> 녹음 수록.
[VOL.1 앞면] 3.Solo with Kayageum - Kui Hee Park
■ 수궁가 중 고고천변 - 1960년대 중반~1970년 무렵 녹음
● MI12LP-0360~0363
레코드 國樂 초·중·고등학교 교재용-문교부 인정 시청각교육교재
한양교재사 발매, 신향음판제작소 제조 HS-14(4LP), 1960년대 중반~1970년 무렵 녹음 제작, 값 3200원, 레코드 國樂 제작자:李成千. 박귀희(가야금병창) 고수(성명 미상) 수궁가 중 <고고천변> 녹음 수록.
[셋째판 앞면] 2.고고천변(가야금倂唱) 朴貴姬
■ 단가 죽장망혜(6:15), 수궁가 중 고고천변/가자 어서 가(7:58),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0), 민요 골패타령(4:27), 신민요 샛노란 저고리(3:31), 신방아타령)(2:29), 발림(2:45), 님이 그리워(2:25), 단가 청석령 지나갈제(2:41) - 1976년 녹음
● MI12LP-0444·1496(초판), MI12LP-0445(재판)
인간무형문화재 제23호 朴貴姬 伽揶琴倂唱
오아시스레코오드社 OL-1771(1LP), 1976년 STEREO 녹음, 1976년 4월 6일 초판 제작, 1977년 1월 10일 재판 제작.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SIDE 1) 1.短歌 竹杖芒鞋(단가 죽장망혜)(6:15)(OL 8027) 2.水宮歌(수궁가)中에서(7:58) (1)고고천변(OL 8028) (2)가자 어서 가(OL 8029) 3.興甫歌(흥보가)中에서 제비노정기(5:40)(OL 8030)
SIDE 2) 1.骨牌打令(골패타령)(4:27)(OL 8031) 2.샛노란 저고리(3:31)(OL 8032) 3.新芳兒打令(신방아타령)(2:29)(OL 8033) 4.발님(2:45)(OL 8034) 5.임이 그리워(2:25)(OL 8035) 6.청성령 지나갈제(→ 청석령 지나갈제)(2:41)(OL 8036)
■ 단가 죽장망혜, 녹음방초, 호남가, 청석령, 춘향가 중 사랑가,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 1976년 녹음
● MI12LP-0311
지정중요무형문화재 한국의 음악-Traditional music of Korea(12인치 40LP 박스물 전집)
재단법인 무형문화재보호협회, 지구레코드공사 제조, 음반번호 없음(2LP=2면), 1976년 녹음 제작, 해설서(총 44쪽) 내장. ‘한국전통음악대전집’(문화재보호협회 1981년 제작 50LP 전집)과 ‘국악의 향연’(중앙일보사 1988년 제작 50LP 전집)에 수록된 녹음과 동일함.
[5집] SIDE 2) 5.죽장망혜(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김동준)
[6집] SIDE 1) 1.녹음방초 2.호남가 3.청석령 4.사랑가 5.제비노정기(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김동준)
■ 단가 청석령(3:32),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39), 춘향가 중 사랑가(9:00), 단가 백발가(3:16), 죽장망혜(6:23), 녹음방초(5:49), 호남가(3:08), 민요 골패타령(3:58) - 1976년 녹음
● MI12LP-0305
국악의 향연(12인치 50LP 박스물 전집)
中央日報社 발매, ⓟ1978ⓒ1988 문화재보호협회, (주)서울음반 제조, 음반번호 없음(1LP), 1976년 녹음, 심의번호:8810-G196, 뒷표지에 해설(총 1면) 수록, 가사지(총 2면) 별첨 내장.
[28집] 가야금병창(병창:박귀희 장고:김동준)
제1면(21:27) 1.청석령(靑石嶺)(3:32) 2.제비노정기(路程記)(5:39) 3.사랑가(9:00) 4.백발가(3:16)
제2면(19:18) 1.죽장망혜(竹杖芒鞋)(6:23) 2.녹음방초(綠陰芳草)(5:49) 3.호남가(湖南歌)(3:08) 4.골패타령(3:58)
■ 단가 녹음방초(5:58), 춘향가 중 사랑가(8:35),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55) - 1980년 녹음
● MI12LP-0187~0201(15LP)
한국전통음악-TRADITIONAL MUSIC OF KOREA
미국 뉴욕 한국문화원 제작 전집, 음반번호 없음(15LP 박스물), 1980년 제작, 20쪽짜리 영문 해설지 수록. ⓒⓟ 1980 The Korean Cultural Service, New York.
Manufactured by Allison Audio Products, Inc., Recorded by Seoul Studio, Seoul, Korea.
MINSOGAK(FOLK MUSIC) [제12집-RECORD 12]
Side B) KAYAGUM P'YONGCHANG(Song with Kayagum)
1.Nokumbangcho(5:58) 2.Sarangga(8:35) 3.Chebi nojonggi(5:55) by Park, Kwi-hee(Singer with Kayagum)/Kim, Tong-jun(Changgo)
■ 단가 녹음방초(6:02), 수궁가 중 토끼화상(2:45) - 1985년 녹음
● MI12LP-0446
重要無形文化財 23號 香史 朴貴姬 作曲 및 作品集
박귀희 자비 제작 한정반, (株)서울音盤 제조 SR-850321(1LP), 1985년 녹음 제작. 뒷표지에 박귀희 약력 수록.
앞쪽(25:35) 1.녹음방초(가야금병창)(6:02)(전래민요)(박귀희 창)(8503-1390) 2.토끼화상(가야금병창)(2:45)(전래민요)(박귀희 창)(8503-1391)
[MC]
■ 단가 녹음방초,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토끼화상, 토끼와 자라 만나는 데 - 1959~1960년 녹음 / 단가 녹음방초,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가자 어서 가(세상 경개),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 민요 골패타령, 단가 죽장망혜, 수궁가 중 고고천변, 민요 보리타작(옹해야), 칠석놀이 - 1960년경 녹음
● MIMC-0871~0881
TRADITIONAL FOLK SONGS OF KOREA 韓國民謠大全集(부록:古典舞踊曲 및 時調唱)
前國立國樂院長 成慶麟先生 監修
도서출판 소리출판사 발행, 아카데미음향제작소 제작, 서라벌레코오드사 제조 SAM-6001~6014, AM-3001~3014(14MC 박스물/재편집 테입), 1978년 4월 27일 제작, 1978년 5월 7일 발매. 심의번호:7804-2158~2267. 해설서(총 119쪽) 내장. 판매가:3만원. 이 전집은 같은 시기, 동일 회사에서 장시간음반(12인치 14LP 박스물)으로도 제작되었다. 이 전집물은 1950년대 후반~1978년에 킹스타, 신세기 등 여러 음반회사에서 녹음, 제작된 음반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5집] SIDE A) 3.녹음방초(唱:朴貴姬)  SIDE B) 1.사랑가(唱:朴貴姬) 4.토끼화상(唱:朴初月)(→ 박귀희 가야금병창·미상의 연주자들 기악반주-수궁가 중 토끼화상, 토끼와 자라 만나는 데 녹음 수록/박초월 창 아님)
[9집] 朴貴姬 가야금병창 SIDE A) 1.녹음방초 2.사랑가 3.세상 경개 4.쾌지나 칭칭나네  SIDE B) 1.골패타령 2.죽장망혜 3.고고천변 4.보리타작소리 5.칠석놀이
■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자라가 토끼 발견하는 데(한곳을 바라보니) - 1959~1960년 녹음
● MIMC-0607
南道民謠 제1집
주식회사 예음사 YS-0115(1MC/재편집 테입), 1990년 1월 15일 제작. 총 60분 수록. 이는 1959~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녹음, 제작된 여러 음반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SIDE B) 4.사랑가(7802-720)(박귀희 창) 9.토끼타령(7802-721)(박귀희 가야금병창, 미상의 기악반주자들 반주-수궁가 중 자라가 토끼 발견하는 데 녹음 수록)
■ 단가 녹음방초 - 1959~1960년 녹음
● MIMC-0608
南道民謠 제2집
주식회사 예음사 YS-0117(1MC/재편집 테입), 1990년 1월 15일 제작. 총 60분 수록. 이는 1959~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녹음, 제작된 여러 음반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SIDE A) 7.녹음방초(7802-700)(박귀희 창)
■ 춘향가 중 사랑가, 수궁가 중 한곳을 바라보니, 단가 녹음방초 - 1959~1960년 녹음
● MIMC-1037~1038
KOREAN FOLK SONGS 인간문화재 남도 3명창 박초월·박귀희·성우향(1)~(2)
NAMDO 3 GREAT SINGERS SUNG by PARK CHOWOL PARK GUIHEE SUNG WOOHYANG
대도레코드사 제작·발매, 제품번호 없음(2MC 박스물), 1968년/1995년 제작. 기획:이무성. 이 카세트테입은 1959~1960년 킹스타레코드에서 녹음, 제작된 여러 장시간음반(LP)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제2집] SIDE A(22:05) 1.사랑가(박귀희) 6.토끼타령(박귀희)  SIDE B(22:27) 3.녹음방초(박귀희)
■ 단가 녹음방초(5:50), 흥보가 중 도사가 집터 잡는 데(13:00), 단가 죽장망혜(6:10), 춘향가 중 사랑가(9:00)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MC-0433~0434(표지가 약간 다른, 동일 녹음의 테입 각 1개/MIMC-0433:아세아레코드사, MIMC-0434:주식회사 아세아레코드)
朴貴姬 가야금병창
아세아레코드사/주식회사 아세아레코드 ALC-1035(1MC), 1960년대 초반 녹음, 1982년 11월 1일 제작.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이 카세트테입은 1960년대 후반/1971년 2월 23일에 제작된 ‘가야금倂唱 唱朴貴姬’ 음반(新世紀蓄音機株式會社/新世界레코드社 민1241, 1LP) 등에 수록된 녹음을 발췌하여 재편집, 재발매한 것이다.
SIDE 1) 1.녹음방초(朴貴姬)(7704-B4273)(5:50) 2.흥부전 중에서(朴貴姬)(7704-B4275)(13:00)(→ 흥보가 중 <도사가 집터 잡는 데> 녹음 수록)
SIDE 2) 1.죽장망혜(朴貴姬)(7704-B4270)(6:10) 2.사랑가(朴貴姬)(7704-B4272)(9:00) 3.새타령(朴貴姬)(7704-B4280)(6:00)(→ 신쾌동의 가야금과 김재선의 장고 연주 수록, 박귀희 가야금병창 아님)
■ 단가 죽장망혜, 민요 골패타령 - 1960년대 녹음
● MIMC-0907
한국의 전통음악(26) 병창/관현악과 판소리
기획·녹음 제공:국악보급진흥회, 제조:대도레코드사, 공급:세화음악사, 제품번호 없음(1MC/초판), 1985년 제작. 앞면:1960년대 녹음, 뒷면:1970년대 녹음. 반주자 성명 미상. 김호성·이강근이 엮은 별책 부록 󰡔한국의 전통음악󰡕(서울:국악보급진흥회, 1985년 초판, 총 228쪽) 포함. 본 전집(38MC 박스물) 판매가:18만원. 본 전집은 1999년 ‘韓國의 傳統音樂’ 음반(기획·녹음 제공:국악보급진흥회, 제작·발매:오리엔탈레코드, 공급:국악춘추사 DYCD-1401~1440, 40CD 박스물)으로 재발매되었다.
앞면) [병창] 2.죽장망혜(박귀희 가야금병창) 6.골패타령(박귀희 가야금병창)
■ 단가 호남가 - 1974년 녹음
● MIMC-0817~0819
韓國音樂選集 제3집-A SEL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VOL.3
國立國樂院 기획, (주)성음 제작·발매 CS-056(3MC 박스물/재판), 1974년 녹음, 1985년 10월 26일 제작. 심의번호:8510-7209~7226. 국·영문 해설·가사지(총 26쪽) 내장. 비매품이라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는 판매됨. 이 카세트테입은 1974년에 제작된 ‘韓國音樂選集 제3집’ 음반(國立國樂院 發行 3LP/초판)을 재발매한 것이다.
[제5면 20:50] 3.호남가(박귀희) → 박귀희(가야금병창) 성명 미상의 연주자(장고) 단가 <호남가> 녹음 수록.
■ 단가 녹음방초, 호남가, 청석령, 춘향가 중 사랑가,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단가 죽장망혜, 백발가, 심청가 중 방아타령 - 1976년 녹음
● MIMC-0935
韓國傳統音樂大全集 스테레오 카세트(50MC 박스물 전집/심의번호:8011-8768~8839)
韓國文化財保護協會 編, 지구레코드 제조, 테입번호 없음(1MC), 1976년 녹음, 1981년 3월 20일 제작. ‘한국의 음악’(재단법인 무형문화재보호협회 1976년 제작 40LP 전집), ‘국악의 향연’(중앙일보사 1988년 제작 50LP 전집)에 수록된 녹음과 일부가 동일함(박귀희 가야금병창 심청가 중 <방아타령>을 제외한 나머지는 동일). 그리고 ‘한국전통음악대전집’(문화재보호협회 1981년 제작 50LP 전집)에 수록된 녹음과는 모두 동일함.
[16집] 가야금竝唱(竝唱:朴貴姬 杖鼓:金東俊)
Side 1) 1.綠陰芳草 2.湖南歌 3.靑石嶺 4.사랑가 5.제비路程記
Side 2) 1.竹杖芒鞋 2.白髮歌 3.沈淸歌 中 방아打令
■ 단가 호남가 - 1980년대 녹음
● MIMC-0064
1992.1.12.06:00~07:00.KBS-1FM. ‘동창이 밝았느냐’ 방송 수신 녹음:노재명
앞면) 1.박귀희(가야금병창)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단가 <호남가>(1980년대 녹음)
[CD]
■ 단가 녹음방초(5:52),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2), 단가 죽장망혜(6:03), 단가 호남가(3:14), 단가 백발가(3:17) - 1964년 10월 녹음
● MICD-0105
한국의 음악 시리즈 2집
한국의 민속음악(KOREAN FOLK MUSIC) 사물놀이·가야금병창
지구레코드 JCDS-0077(1CD), 1989년 제작. 국·영문 해설지(2쪽) 내장. 이 컴팩트디스크의 초판은 1988년 8월 20일에 제작된 ‘한국의 음악 시리즈 2집-한국의 민속음악(KOREAN FOLK MUSIC) 사물놀이·가야금병창’ 음반(지구레코드 JLS-1202187, 1LP)이다. 이 컴팩트디스크의 3~7번 곡은 박귀희의 가야금병창 녹음이다.(1964년 10월 녹음,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이 녹음집의 가야금병창은 1988년 8월 13일 지구레코드에서 제작된 ‘인간문화재 23호(가야금병창) 박귀희’ 음반(JLS-1202198, 1LP)에 수록되어 있는 녹음 가운데 일부를 발췌하여 재편집한 것이다.
3.녹음방초(5:52)(8806-5719)(민요) 4.제비노정기(5:42)(8806-5720)(민요) 5.죽장망혜(6:03)(8806-5723)(민요) 6.호남가(3:14)(8806-5725)(민요) 7.백발가(3:17)(8806-5727)(민요)
■ 단가 녹음방초(5:52),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2), 단가 청석령 지나갈제(3:40), 춘향가 중 사랑가(9:00), 단가 죽장망혜(6:03), 적벽가 중 조자룡 활 쏘는 데(8:45), 단가 호남가(3:14), 민요 골패타령(4:00), 단가 백발가(3:17) - 1964년 10월 녹음
● MICD-0107
인간문화재 23호(가야금병창) 박귀희(PARK KUI HEE)
지구레코드 JCDS-0102(1CD), 1964년 10월 녹음, 1990년 제작. 판매가:7500원. 수록곡 사설과 박귀희 약력이 실린 국문 해설지(6쪽) 내장. 이 컴팩트디스크의 초판은 1988년 8월 13일에 제작된 ‘National Living Treasure(Kayagum Byungchang) 인간문화재 23호(가야금병창) PARK KUI HEE 박귀희’ 음반(지구레코드 JLS-1202198, 1LP)이다. 이 컴팩트디스크와 장시간음반은 1964년에 녹음 제작된 ‘韓國 名唱 第一~二集 唱:朴貴姬·金素姬’ 음반(美都波레코-드會社 LM-120044~120045, 2LP)에 수록된 박귀희 가야금병창을 한데 모아 재편집한 것임. 녹음기술 담당:최성락,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1.녹음방초(5:52)(8806-5719) 2.흥보가 中 제비노정기(5:42)(8806-5720) 3.청성영 지나갈제(→ 청석령 지나갈제)(3:40)(8806-5721) 4.춘향가 中 사랑가(9:00)(8806-5722) 5.죽장망혜(6:03)(8806-5723) 6.적벽가 中 좌룡이 활 쏘는 대목(→ 조자룡 활 쏘는 데)(8:45)(8806-5724) 7.호남가(3:14)(8806-5725) 8.골패타령(4:00)(8806-5726) 9.백발가(3:17)(8806-5727)
■ 단가 죽장망혜, 민요 골패타령 - 1960년대 녹음
● MICD-1521
韓國의 傳統音樂(26) 병창/관현악과 판소리
기획·녹음 제공:국악보급진흥회, 제작·발매:(주)오리엔탈레코드, 공급:국악춘추사 DYCD-1426(1CD/재판), 1~6번 곡:1960년대 녹음, 7~11번 곡:1970년대 녹음, 1999년 제작. 반주자 성명 미상. 1985년에 이강근·김호성이 엮은 별책 부록 󰡔韓國의 傳統音樂󰡕(서울:오리엔탈레코드, 1999년 재판, 총 220쪽) 포함. 본 전집(40CD 박스물) 판매가:68만원. 본 전집 음반의 초판은 1985년 국악보급진흥회/대도레코드사에서 제작된 ‘한국의 전통음악’ 전집물(38MC 박스물)이다.
[병창] 2.죽장망혜(박귀희 가야금병창) 6.골패타령(박귀희 가야금병창)
■ 단가 호남가(3:20) - 1974년 녹음
● MICD-0119
국립국악원 개원 마흔돌 기념 음반
국악원이 추천하는 한국의 전통음악(A Sel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3집 한국의 성악(Vocal Music)
지구레코드 JCDS-0197(1CD), 1991년 8월 제작, 표지 그림:김정, 총 수록시간:71분 43초. 본 음반의 11번 트랙에 수록된 박귀희 가야금병창 단가 <호남가>는 1974년 녹음, 제작된 ‘韓國音樂選集 제3집’ 음반(國立國樂院 發行 LP)에서 발췌한 것이다.
11.가야금병창 호남가(Honamga)(3:20)(가야금병창:박귀희 고수:미상)
■ 단가 죽장망혜(6:16),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0), 신민요 샛노란 저고리(3:32), 단가 청석령 지나갈제(3:49), 수궁가 중 고고천변-가자 어서 가(8:00), 신민요 자진방아타령(2:32), 민요 골패타령(4:28) - 1970년대 녹음
● MICD-0270~0271
가야금·거문고 병창
(주)오아시스 ORC-1440(1CD), 1994년 12월 제작. 심의번호:7702-3842,7802-759,
7902-836,7905-3706/4239/4240,8007-S283/S289/S291,8209-4885,8409-5299,8907-S459,9007-G172,9404-3987~3990. 이 음반은 같은 시기에 카세트테입(오아시스 GS-1779, 1MC)으로도 발매된 바 있다.
1.단가 죽장망혜(6:16)(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장덕화) 5.흥보가 중 제비노정기(5:40)(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신유경) 8.신민요 샛노란 저고리(3:32)(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장덕화) 10.단가 청석령 지나갈제(3:49)(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장덕화) 14.수궁가 중 고고천변-가자 어서 가(8:00)(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신유경) 15.신민요 자진방아타령(2:32)(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신유경) 16.민요 골패타령(4:28)(가야금병창:박귀희, 장고:신유경)
[CD-ROM]
■ 단가 녹음방초 - 녹음시기 미상
● MICDROM-0001
문화재를 배웁시다-중요무형문화재 94종(FOR WIN95 & WINDOWS)
서울시스템주식회사 SCDR-10091(1CD-ROM) 1995년 제작. 수록 자료:문화재관리국 제공. 가격:22,000원.
박귀희(가야금병창)와 미상의 연주자(장고)의 단가 <녹음방초> 녹음 일부, 박귀희(가야금병창)와 김명환(장고)의 사진, 박귀희·정달영 약력 수록.
[VHS]
■ 박귀희 사진 - 1970년대 촬영
● MIVHS-0352(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8.2.13.20:30~21:30.K-TV. 우리가락 우리춤
3.국악 사랑방-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편(탐방:이재은) 박귀희 사진 수록.
■ 박귀희 사진 - 1970년대 촬영
● MIVHS-0524(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9.3.16.00:05~00:55.KBS-2TV. ‘TV 명인전’(안숙선 편)
5.안숙선의 스승 박귀희의 사진자료 수록.
■ 박귀희 특집 방송 - 1998년 녹음·촬영
● MIVHS-0393(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8.5.12.20:20~21:00.아리랑TV. Sound & Motion
3.명인명창열전-박귀희(옛 사진자료 수록)

박귀희 일행
[10인치 LP]
■ 민요 산타령, 뽕 따는 노래 - 1963년 녹음
● MI10LP-0145
アリラン 아라랑 ARIRAN 韓國民謠
李殷官·高白花·合唱團. 伴奏:チャング(長鼓)·ピリ(피리)·伽倻琴
朴貴姬·合唱團. 伴奏:チャング(長鼓)·ピリ(피리)·伽倻琴
Nippon Columbia Co., LTD. ALS-199(10인치 1LP), 1963년 STEREO 녹음, 1963년 7월 제작. 앞표지 앞줄 왼쪽부터 차례로 이은관, 박귀희, 뒷줄 왼쪽부터 차례로 미상(여자), 고백화, 미상(여자), 미상(여자) 사진(CAMERA:MIKI TAKAGI/H635S) 수록. 발매 당시 음반 판매 가격:1,200엔. 뒷표지에 곡목 해설(解說:金坡禹)이 실려있음. 뱀 따는 노래→뽕 따는 노래.
第二面(FS 269) 1.산타령(朴貴姬と合唱團) 3.뱀 따는 노래(朴貴姬と合唱團)
[MC]
■ 춘향가 중 천자뒤풀이, 수궁가 중 고고천변 - 1980년대 녹음
● MIMC-0844~0847
한국 음악 감상(연주:국립국악원)
도서출판 又善 제작 발매, (주)덕윤산업 제조, 제품번호 없음(4MC 박스물/재편집 테입), 1992년 4월 15일 제작. 공윤음도:92-95. 이 카세트테입은 이호섭 편저 󰡔한국 음악 감상󰡕(서울:도서출판 又善, 1992년, 총 200쪽, 4MC 포함 판매가:12000원)의 부록이다.
[Tape 2] SIDE B) 46.천자뒤풀이 → 박귀희 일행 가야금병창 1980년대 녹음 수록 47.고고천변 → 박귀희 일행 가야금병창 1980년대 녹음 수록

박귀희·안숙선
[CD]
■ 신민요 박꽃핀 내 고향(2:29), 노들강 초록물(3:36), 민요 멸치잡이노래(3:53), 둥둥개타령(2:27), 신민요 복사꽃 필 때(1:48), 님그린 회포(2:25), 민요 범벅타령(2:55), 신민요 뽕 따러가세(2:57), 전라도 산타령(2:11), 신민요 꽃이 피었네(3:10), 민요 경발림(2:17), 신민요 상사천리몽(1:57), 날 오라 하네(2:18), 풍년노래(2:18), 내 고향의 봄(2:13) - 1984년 녹음
● MICD-0392
중요무형인간문화재 박귀희 민요(KOREAN FOLK SONGS)
삼성기획/현대레코드/SKC SMCD-006(1CD), 1984년 녹음, 1991년 9월 제작. 앞표지에 박귀희 사진이 실려있음. 총 수록시간:39분 20초. 6~7번 곡은 박귀희·안숙선 가야금병창 녹음이고 나머지는 박귀희·안숙선의 가야금병창과 연주자들 미상의 민속기악반주로 녹음된 것이다. 반주자들:성명 미상.
1.박꽃핀 내 고향(2:29)(8405-2278) 2.노들강 초록물(3:36)(8405-2279) 3.멸치잡이노래(3:53)(8009-6830) 4.둥둥개타령(2:27)(8405-2285) 5.복사꽃 필 때(1:48)(8405-2286) 6.님그린 회포(2:25)(8405-2280) 7.범벅타령(2:55)(8008-6603) 8.뽕 따러가세(2:57)(8405-2283) 9.전라도 산타령(2:11)(8405-2281) 10.꽃이 피었네(3:10)(8405-2282) 11.경발림(2:17)(8405-2284) 12.상사천리몽(1:57)(8405-2287) 13.날 오라 하네(2:18)(8405-2288) 14.풍년노래(2:18)(8405-2289) 15.내 고향의 봄(2:13)(8405-2290)
■ 흥보가 중 중이 집터 잡아주는 데~강남 갔던 제비가 흥보집에 돌아와 박씨를 주는 데(20:54), 춘향가 중 천자뒤풀이(4:29), 단가 호남가(3:18), 수궁가 중 고고천변(7:25), 심청가 중 화초타령(2:44) - 1984년 녹음
● MICD-0393
중요무형인간문화재 가야금병창(창:박귀희·안숙선)
삼성기획/현대레코드/SKC SMCD-007(1CD), 1984년 녹음, 1991년 9월 제작. 앞표지에 박귀희 사진이 실려있음. 총 수록시간:39분 3초, 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1.흥보가 중 중이 집터 잡아주는 대목부터 강남 갔던 제비가 흥보집에 돌아와 박씨를 주는 대목까지(20:54)(8405-2299) 2.춘향가 중 천자뒤풀이(4:29)(8405-2300) 3.단가 호남가(3:18)(8405-2301) 4.수궁가 중 고고천변(7:25)(8405-2302) 5.심청가 중 화초타령(2:44)(8405-2303)

박귀희·안숙선·강정숙 일행
[VHS]
■ 춘향가 중 사랑가 - 1990년경 녹음·촬영
● MIVHS-0443(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8.8.30.09:00~10:00.KBS-1TV. ‘국악 한마당’(진행:이금희)
10.박귀희·안숙선·강정숙 일행 가야금병창 춘향가 중 <사랑가> 일부(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1990년경 녹화자료

박귀희·안숙선·이영신 일행
[VHS]
■ 박귀희·안숙선·이영신 일행의 가야금병창 장면 일부 - 1992년 녹음·촬영
● MIVHS-0224(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7.9.14.06:10~07:00.MBC-TV. 추석 특집-신인간문화재와 함께(안숙선 출연) 박귀희·안숙선·이영신 일행의 가야금병창(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장면 일부(1992년 ‘우리가락 한마당’ 녹화자료) 수록.

박귀희·안숙선·강정숙·윤소인 일행
[VHS]
■ 수궁가 중 토끼가 수궁에서 나오는 데 - 1980년대 녹음·촬영
● MIVHS-0393(방송 수신 녹화:노재명)
1998.5.12.20:20~21:00.아리랑TV. Sound & Motion
4.박귀희·안숙선·강정숙·윤소인 일행 가야금병창 수궁가 중 <토끼가 수궁에서 나오는 데>(장고 반주자:성명 미상) 옛 영상자료

박귀희·안숙선·강정숙·윤소인·안옥선·강길려·이영신 일행
[VHS]
■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 1990년경 공연 실황
● MIVHS-0411
1990년경 KBS-TV. ‘명창 명무 큰잔치’(세종문화회관 대강당 공연 실황)
2.박귀희·안숙선·강정숙·윤소인·안옥선·강길려·이영신 외(19명) 가야금병창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수록.

▶ 민요

박귀희
[10인치 LP]
■ 민요 쾌지나 칭칭나네, 보리타작(옹해야), 칠석놀이 - 1960년대 초반 녹음
● MI10LP-0108
勸酒歌 悔心曲 南道民謠
唱:金月荷·朴貴姬·李殷官·朴初月
킹스타- KSM-1131(10인치 1LP), 1960년대 초반 녹음 제작. 뒷표지에 수록곡 가사 수록.
<第二面> (二)쾨지나 칭칭나네-朴貴姬 (三)보리타작(옹해야)-朴貴姬 (四)七夕놀이-朴貴姬
[CD]
■ 민요 쾌지나칭칭, 옹헤야 - 녹음시기 미상
● MICD-1514
韓國의 傳統音樂(19) 경기·강원·함경·경상민요
기획·녹음 제공:국악보급진흥회, 제작·발매:(주)오리엔탈레코드, 공급:국악춘추사 DYCD-1419(1CD/재판), 1999년 제작. 녹음시기 미상. 1985년에 이강근·김호성이 엮은 별책 부록 󰡔韓國의 傳統音樂󰡕(서울:오리엔탈레코드, 1999년 재판, 총 220쪽) 포함. 본 전집(40CD 박스물) 판매가:68만원. 본 전집 음반의 초판은 1985년 국악보급진흥회/대도레코드사에서 제작된 ‘한국의 전통음악’ 전집물(38MC 박스물)이다.
강원·함경·경상민요 17.쾌지나칭칭(박귀희) 20.옹헤야(박귀희)
[MC]
■ 민요 쾌지나칭칭, 옹헤야 - 녹음시기 미상
● MIMC-0900
한국의 전통음악(19) 경기·강원·함경·경상민요
기획·녹음 제공:국악보급진흥회, 제조:대도레코드사, 공급:세화음악사, 제품번호 없음(1MC/초판), 1985년 제작. 녹음시기 미상. 김호성·이강근이 엮은 별책 부록 󰡔한국의 전통음악󰡕(서울:국악보급진흥회, 1985년 초판, 총 228쪽) 포함. 본 전집(38MC 박스물) 판매가:18만원. 본 전집은 1999년 ‘韓國의 傳統音樂’ 음반(기획·녹음 제공:국악보급진흥회, 제작·발매:오리엔탈레코드, 공급:국악춘추사 DYCD-1401~1440, 40CD 박스물)으로 재발매되었다.
뒷면) [강원·함경·경상민요] 7.쾌지나칭칭(박귀희) 10.옹헤야(박귀희)

박귀희 일행
[12인치 LP]
■ 민요 쾌지나 칭칭 - 1960년대 중반~1970년 무렵 녹음
● MI12LP-0360~0363, MI12LP-1677~1680
레코드 國樂 초·중·고등학교 교재용-문교부 인정 시청각교육교재
한양교재사 발매, 신향음판제작소 제조 HS-13~16(4LP), 1960년대 중반~1970년 무렵 녹음 제작, 값 3200원, 레코드 國樂 제작자:李成千.
[넷째판 뒷면] 2.쾌지나 칭칭 朴貴姬 外

박귀희·김소희
[CD]
■ 민요 멸치잡이놀이, 뽕 따러 가세, 애수의 가을밤, 꽃타령, 노들강 초록물, 이야홍타령, 발림, 풍년놀이, 날 오라네, 봄노래, 상사천리몽, 김매기 - 1964년 녹음
● MICD-0108
인간문화재 박귀희·김소희
지구레코드 JCDS-0103(1CD), 1964년 녹음, 1990년 제작. 앞표지에 왼쪽부터 차례로 박귀희·김소희 사진 수록. 음반 가격:7500원. 총 수록시간:29분 11초. 수록곡 가사, 박귀희·김소희의 약력과 사진 등이 실려있는 총 8쪽짜리 인쇄물 포함. 기악반주자들:성명 미상. 해설서에 '국악 발전을 위해 평생을 바치신 대금 김광식, 해금 지영희, 가야금 성금연, 피리 이병우, 장고 아쟁 한일섭 선생님들의 영전에 바칩니다'라는 글이 있음.
1.멸치잡이놀이(3:18) 2.뽕 따러 가세(2:07) 3.애수의 가을밤(2:27) 4.꽃타령(1:47) 5.노들강 초록물(2:09) 6.이야홍 타령(2:18) 7.발님(2:48) 8.풍년놀이(1:48) 9.날 오라네(2:25) 10.봄노래(1:43) 11.상사천리몽(2:06) 12.김매기(2:50)

박귀희·김소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12인치 LP]
■ 민요 새타령, 꽃타령, 휘여능청, 자진휘여능청, 널뛰기, 선부의 연가, 보렴, 성주풀이, 까투리타령, 동백타령, 사철가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12LP-0742, MI12LP-0743
南道民謠 第2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현대음반(주) HSJ-민22(1LP), 1970년대 후반 녹음 제작.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안향련, 남해성 사진 수록. 뒷표지에 수록곡 가사가 실려있음.
SIDE A) 1.새타령(4240) 2.꽃타령(4218) 3.휘여능청(4232)-자즌휘여능청(4233) 4.널뛰기(4238) 5.선부의 연가(4231)
SIDE B) 1.보렴(4217) 2.성주풀이(4219) 3.까투리타령(4220) 4.동백타령(4213) 5.사철가(4238)
■ 민요 남원산성, 봄맞이, 팔월가, 재건의 메아리, 뱃노래, 화초사거리, 도라지꽃, 금강산타령, 달맞이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12LP-0744
南道民謠 第3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현대음반(주) HSJ-민23(1LP), 1970년대 후반 녹음 제작. 음반 뒷표지에는 조통달의 <고왕금래>가 들어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는 이 녹음이 본 음반에 없음. 조통달의 이 단가 <고왕금래>(3134, 고수:성명 미상)는 1970년대 후반 힛트레코드사에서 제작된 ‘短歌’ 음반(HSJ-민9, 1LP)에 수록되어 있음. 본 음반 앞면에는 총 4곡이 담겨있음.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안향련, 남해성 사진 수록. 뒷표지에는 수록곡 가사가 실려있음.
앞면) 1.남원산성(4231) 2.봄맞이(4111) 3.팔월가(4123) 4.재건의 메아리(4117)
뒷면) 1.뱃노래(4138) 2.화초사거리(4233) 3.도라지꽃(4128) 4.금강산타령(4218) 5.달맞이(4217)
■ 민요 농부가, 자진농부가, 진도아리랑, 뽕 따러 가세, 단오놀이, 강강수월래, 들국화, 물레타령, 내 고향 좋을시구, 풍년가, 쾌지나 칭칭, 이야홍타령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12LP-1838
南道民謠 第1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현대음반(주) HSJ-민21(1LP), 1970년대 후반 녹음 제작.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남해성, 안향련 사진 수록. 뒷표지에 수록곡 가사가 실려있음.
SIDE A) 1.농부가(4236)-자즌농부가(4237) 2.진도아리랑(4230) 3.뽕 따러 가세(4278) 4.단오놀이(4211)
SIDE B) 1.강강수월래(4234) 2.들국화(4217) 3.물레타령(4245) 4.내 고향 좋을시구(4246) 5.풍년가(4218) 6.쾌지나 칭칭(4240) 7.이야홍타령(4248)
■ 민요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삼산반락, 개구리타령, 흥타령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12LP-1853
南道民謠 第4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현대음반(주) HSJ-민24(1LP), 1970년대 후반 녹음 제작.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안향련, 남해성 사진 수록. 뒷표지에는 수록곡 가사가 실려있음.
앞면) 1.육자백이(4131) 2.자즌육자백이(4133)
뒷면) 1.삼산반락(4138) 2.개구리타령(4127) 3.흥타령(4128)
[CD]
■ 민요 농부가, 자진농부가, 성주풀이, 통영 개타령, 까투리타령, 진도아리랑, 강강수월래, 풍년가, 김매기, 사철가(1), 새타령, 널뛰기, 오돌또기, 사철가(2), 풍년놀이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CD-0883
南道民謠(1) 唱: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現代音響株式會社 HSSD-0014(1CD), 1996년 제작. 카세트테입(현대음향 HOTC-4001, 1MC)도 동시 발매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 힛트레코드사/현대음반에서 제작된 ‘남도민요 1~5집’ 장시간음반(HSJ민21~25, 5LP)과 카세트테입(HSJ민21~25, 5MC) 가운데 일부곡을 발췌하여 재발매한 것이다. 기악반주자 성명 미상.
1.농부가-자즌농부가(7:58) 2.성주풀이(4:30) 3.통영개타령(2:37) 4.까투리타령(2:20) 5.진도아리랑(5:49) 6.강강수월래(4:20) 7.풍년가(3:03) 8.김매기(2:10) 9.사철가(1)(3:07) 10.새타령(9:07) 11.널뛰기(2:04) 12.오돌또기(2:48) 13.사철가(2)(3:56) 14.풍년놀이(1:48)
■ 민요 꽃타령, 단오놀이, 쾌지나 칭칭, 남원산성, 뽕 따러 가세, 물레타령, 상주 모심기, 뱃노래, 화초사거리, 보렴, 발림, 휘여능청, 자진휘여능청, 동백타령, 전라도 산타령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CD-0884
南道民謠(2) 唱: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現代音響株式會社 HSSD-0015(1CD), 1996년 제작. 카세트테입(현대음향 HOTC-4002, 1MC)도 동시 발매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 힛트레코드사/현대음반에서 제작된 ‘남도민요 1~5집’ 장시간음반(HSJ민21~25, 5LP)과 카세트테입(HSJ민21~25, 5MC) 가운데 일부곡을 발췌하여 재발매한 것이다. 기악반주자 성명 미상.
1.꽃타령(2:17) 2.단오놀이(3:37) 3.쾌지나 칭칭(3:16) 4.남원산성(3:53) 5.뽕따러 가세(3:26) 6.물레타령(3:02) 7.상주 모심기(4:35) 8.뱃노래(3:30) 9.화초사거리(8:56) 10.보렴(5:50) 11.발림(2:19) 12.휘여능청-자진 휘여능청(4:47) 13.동백타령(6:05) 14.전라도 산타령(3:56)
■ 민요 새타령, 사철가, 풍년놀이, 내 고향의 봄, 상사천리몽, 보렴, 발림, 휘여능청, 자진휘여능청, 동백타령, 전라도 산타령, 애수의 가을밤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CD-1483
효도음악 민요편-남도민요(1)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현대음향주식회사 HOCD-013(1CD), 1970년대 후반 녹음, 1995년 제작. 기악반주자들 성명 미상.
1.새타령(8:36) 2.사철가(3:40) 3.풍년놀이(1:49) 4.내 고향의 봄(2:11) 5.상사천리몽(2:18) 6.보렴(5:25) 7.발림(2:19) 8.휘여능청-자즌휘여능청(2:52) 9.동백타령(5:44) 10.전라도 산타령(3:58) 11.애수의 가을밤(2:18)
● MICD-1930
남도민요(2) 새타령/사철가/풍년놀이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수도음반/현대레코드 SDCD-3004(1CD), 1970년대 후반 녹음, 2001년 염가반 제작. 총 수록시간:45분 10초. 앞·뒷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안향련·남해성 사진 수록.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1~4集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1~민24, 4LP)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1.새타령(9:10) 2.사철가(3:58) 3.풍년놀이(1:51) 4.내 고향의 봄(2:14) 5.상사천리몽(2:21) 6.보렴(5:52) 7.발림(2:22) 8.휘여능청-자진휘여능청(4:51) 9.동백타령(6:08) 10.전라도 산타령(3:59) 11.애수의 가을밤(2:19)
■ 민요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삼산은 반락, 개구리타령, 흥타령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CD-1484
효도음악 민요편-남도민요(3)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현대음향주식회사 HOCD-015(1CD), 1970년대 후반 녹음, 1995년 제작. 기악반주자들 성명 미상.
1.육자백이 2.자즌육자백이 3.삼산 반락 4.개구리타령 5.흥타령
● MICD-1932
남도민요(4) 육자배기/개구리타령/흥타령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수도음반/현대레코드 SDCD-3006(1CD), 1970년대 후반 녹음, 2001년 염가반 제작. 총 수록시간:36분 31초. 앞·뒷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안향련·남해성 사진 수록.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1~4集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1~민24, 4LP)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1.육자백이(11:30) 2.자진육자백이(6:15) 3.삼산 반락(2:53) 4.개구리타령(6:14) 5.흥타령(9:36)
■ 민요 농부가, 자진농부가, 진도아리랑, 뽕 따러 가세, 단오놀이, 강강수월래, 들국화, 물레타령, 내 고향 좋을시구, 풍년가, 쾌지나 칭칭, 이야옹타령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CD-1929
남도민요(1) 강강수월래/농부가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수도음반/현대레코드 SDCD-3003(1CD), 1970년대 후반 녹음, 2001년 염가반 제작. 총 수록시간:41분 45초. 앞·뒷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남해성·안향련 사진 수록.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1~4集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1~민24, 4LP)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1.농부가-자진농부가(7:52) 2.진도아리랑(5:46) 3.뽕 따러 가세(3:26) 4.단오놀이(3:37) 5.강강수월래(4:18) 6.들국화(2:46) 7.물레타령(3:03) 8.내 고향 좋을시구(2:17) 9.풍년가(3:02) 10.쾌지나 칭칭(3:15) 11.이야옹타령(2:18)
■ 민요 꽃타령, 단오놀이, 남원산성, 방아타령, 봄맞이, 물레타령, 상주 모심기, 함양 양잠가, 뱃노래, 화초사거리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CD-1931
남도민요(3) 꽃타령/단오놀이/남원산성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수도음반/현대레코드 SDCD-3005(1CD), 1970년대 후반 녹음, 2001년 염가반 제작. 총 수록시간:42분 20초. 앞·뒷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안향련·남해성 사진 수록.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1~4集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1~민24, 4LP)에서 발췌, 재편집한 것이다.
1.꽃타령(2:20) 2.단오놀이(3:40) 3.남원산성(3:35) 4.방아타령(1:48) 5.봄맞이(7:23) 6.물레타령(3:05) 7.상주 모심기(4:38) 8.함양 양잠가(2:57) 9.뱃노래(3:32) 10.화초사거리(8:57)
■ 민요 쾌지나 칭칭 나네, 자진 쾌지나 칭칭 나네 - 녹음시기 미상
● MICD-2493
학교 교육용 감상자료-성악
교과서에 실린 국악 감상곡(1)
(주)서울음반/국립국악원 SRCD-1480(1CD), 2002년 2월 제작. 총 수록시간:62분 45초. 수록곡 가사 등이 실려있는 총 20쪽짜리 해설지 포함. 녹음 출처:미상.
민요 5.경상도 민요 쾌지나 칭칭 나네-자진 쾌지나 칭칭 나네(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2:04)
[MC]
■ 민요 농부가, 자진농부가, 진도아리랑, 뽕 따러 가세, 단오놀이, 강강수월래, 들국화, 물레타령, 내 고향 좋을시구, 풍년가, 쾌지나 칭칭, 이야홍타령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MC-0762
南道民謠 第1集
唱: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現代音盤株式會社 HSJ-민21(1MC), 1970년대 후반 녹음, 1983년 3월 15일 제작.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1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1, 1LP)을 재발매한 것이다.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남해성, 안향련 사진 수록.
SIDE A) 1.농부가(4236) 2.자진농부가(4237) 3.진도아리랑(4230) 4.뽕 따러 가세(4278) 5.단오놀이(4211)
SIDE B) 1.강강수월래(4234) 2.들국화(4217) 3.물레타령(4245) 4.내 고향 좋을시구(4246) 5.풍년가(4218) 6.쾌지나 칭칭(4240) 7.이야홍타령(4248)
■ 민요 새타령, 꽃타령, 휘여능청, 자진휘여능청, 널뛰기, 선부의 연가, 보렴, 성주풀이, 까투리타령, 동백타령, 사철가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MC-0763
南道民謠 第2集
唱: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現代音盤株式會社 HSJ-민22(1MC), 1970년대 후반 녹음, 1983년 3월 15일 제작.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2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2, 1LP)을 재발매한 것이다.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안향련, 남해성 사진 수록.
SIDE A) 1.새타령(4240) 2.꽃타령(4218) 3.휘여능청(4232)-자즌휘여능청(4233) 4.널뛰기(4238) 5.선부의 연가(4231)
SIDE B) 1.보렴(4217) 2.성주풀이(4219) 3.까투리타령(4220) 4.동백타령(4213) 5.사철가(4238)
■ 민요 남원산성, 봄맞이, 팔월가, 재건의 메아리, 뱃노래, 화초사거리, 도라지꽃, 금강산타령, 달맞이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MC-0764
南道民謠 第3集
唱: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現代音盤株式會社 HSJ-민23(1MC), 1970년대 후반 녹음, 1984년 5월 30일 제작. 이는 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南道民謠 第3集 KOREAN FOLK SONGS 唱:金素姬·朴貴姬·安香蓮·南海城·吳貞淑’ 음반(현대음반 HSJ-민23, 1LP)을 재발매한 것이다. 앞표지 왼쪽부터 차례로 오정숙, 안향련, 남해성 사진 수록.
SIDE A) 1.남원산성(4231) 2.봄맞이(4111) 3.팔월가(4123) 4.재건의 메아리(4117)
SIDE B) 1.뱃노래(4138) 2.화초사거리(4233) 3.도라지꽃(4128) 4.금강산타령(4218) 5.달맞이(4217)
■ 민요 새타령, 사철가, 풍년놀이, 내 고향의 봄, 상사천리몽, 보렴, 발림, 휘여능청, 자진휘여능청, 동백타령, 전라도 산타령, 애수의 가을밤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MC-0766
효도음악 민요편-남도민요(1)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현대음향주식회사 HDOC-013(1MC), 1970년대 후반 녹음, 1995년 제작. 기악반주자들 성명 미상. 이는 같은 시기 컴팩트디스크(현대음향주식회사 HOCD-013, 1CD)로도 제작됨.
앞면) 1.새타령(8:36) 2.사철가(3:40) 3.풍년놀이(1:49) 4.내 고향의 봄(2:11) 5.상사천리몽(2:18)
뒷면) 1.보렴(5:25) 2.발림(2:19) 3.휘여능청-자즌휘여능청(2:52) 4.동백타령(5:44) 5.전라도 산타령(3:58) 6.애수의 가을밤(2:18)
■ 민요 꽃타령, 단오놀이, 남원산성, 방아타령, 봄맞이, 물레타령, 상주 모심기, 함양 양잠가, 뱃노래, 화초사거리 - 1970년대 후반 녹음
● MIMC-0767
효도음악 민요편-남도민요(2)
창:김소희·박귀희·안향련·오정숙·남해성
현대음향주식회사 HDOC-014(1MC), 1970년대 후반 녹음, 1995년 제작. 기악반주자들 성명 미상. 이는 같은 시기 컴팩트디스크(현대음향주식회사 HOCD-014, 1CD)로도 제작됨.
앞면) 1.꽃타령(2:09) 2.단오놀이(3:23) 3.남원산성(3:39) 4.방아타령(1:40) 5.봄맞이(7:18)
뒷면) 1.물레타령(2:52) 2.상주 모심기(4:21) 3.함양 양잠가(2:45) 4.뱃노래(5:31) 5.화초사거리(8:52)

- 계속 -

2011-11-07
 

Powered by GodoTech
Copyright (C) 2000 국악음반박물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