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지구촌 음악과 춤(89) 국악학자 권오성 대담자료 - 우륵, 수영야류, 우즈베키스탄 춤 |
|
 |
 |
 |
 |
 |
지구촌 음악과 춤(89) 국악학자 권오성 대담자료 - 우륵, 수영야류, 우즈베키스탄 춤
* 상기 사진: 2007년 4월 10일 서울 잠실역 근처 음식점에서 대담 중인 권오성 국악학자의 모습(촬영:노재명),
* 상기 자료(1) 당시 권오성 국악학자가 국악음반박물관에 증정한 우륵 관련 문서.
* 상기 자료(2)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비디오테입 MI8V-0079
2007.4.10.18:00~22:00, 2007.4.26.20:00~23:00 서울 잠실역 근처 음식점, 서울 정동 시네마정동극장.
국악학자 권오성 증언(우륵, 수영야류, 우즈베키스탄 춤에 대하여) 수록. 대담/촬영:노재명.
* 상기 자료(3)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명인명창대담록 노트 제37권 MINOTE-0037
2007.4.10.18:00~22:00, 2007.4.26.20:00~23:00 서울 잠실역 근처 음식점, 서울 정동 시네마정동극장.
국악학자 권오성 증언(우륵, 수영야류, 우즈베키스탄 춤에 대하여) 수록. 대담/기록:노재명.
국악학자 권오성 대담자료(우륵, 수영야류, 우즈베키스탄 춤에 대하여)
일시: 2007.4.10.18:00~22:00, 2007.4.26.20:00~23:00
장소: 서울 잠실역 근처 음식점, 서울 정동 시네마정동극장
대담, 정리: 노재명(국악음반박물관 관장)
권오성선생님 말씀:
[우륵 관련] 2007년 봄 권오성이 캐나다 토론토에서 타밀어, 한국사를 연구하고 있는 김정남에게 편지를 하여 우륵이 지었다는 열두 음악 이름 등을 제시하고 그 말들이 혹시 타밀어로 풀리는지를 알아봐 달라고 하였다 한다.
그리하여 김정남이 토론토에 거주하는 30여만명의 타밀인들 가운데 타밀어와 역사를 잘 알고 있는 각계 각층의 알 만한 사람들과 접촉하여 그 말들의 뜻 일부를 알아냈다고 한다.
그 추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고대 타밀어로 우륵의 <가라도>는 '고전 음악'(Classical Music)을 뜻하는 '가르나타카'(Karnataka)의 줄인 말이며 <보기>는 '군중 음악'(Music by the Crowded Group), <거열>은 '음악의 템포'(Tempo), <이사>는 '일반적인 음악'(General Term of Music)을 의미한다고 한다.
[수영야류 관련] 예전에 권오성이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그 나라의 전통무용 전문가에게 수영야류 비디오테입을 보여줬더니 수영야류 춤사위가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전통무용과 매우 비슷하다고 하였다 한다.
[우즈베키스탄 춤 관련] 예전에 권오성이 우즈베키스탄 보이선에서 30여명이 호레즘 전통춤을 공연하는 것을 보았는데 지금까지 본 무수히 많은 전세계 무용 가운데 그 춤이 가장 최고 수준이었다 한다.
권오성은 호레즘이라는 지명의 '호', 그리고 빙글빙글 도는 호레즘 춤사위 특징 등으로 봐서 그 우즈베키스탄 호레즘 전통무용이 고구려의 호선무(胡旋舞)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고 한다.
|
2013-07-17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