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earkoreaTV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국악 음반    
매체별 유성기음반(SP) | 10인치 장시간음반(LP) | 12인치 장시간음반(LP) | 컴팩트디스크(CD) | 카세트테입(MC) | 디지털오디오테입(DAT) | 릴테입(Reel Tape)
마이크로카세트테입(MCT) | VHS 비디오테입 | 8mm 비디오테입 | 6mm 비디오테입 | 레이저디스크(LD) | 시디롬(CD-Rom) | 디브이디(DVD) | 기타자료
장르별 단가 | 판소리 | 창극 | 가야금병창 | 거문고병창 | 산조독주 | 산조합주 | 산조기타자료 | 시나위독주 | 시나위합주 | 삼현육각 | 사관풍류 | 사물놀이
민요연주 | 봉장취 | 민속무용 반주음악 | 기타민속기악 | 정가 | 정악기악독주 | 정악기악합주 | 민요 | 불교음악 | 무속음악 | 민속놀이ㆍ연극 | 풍물
전통춤 | 신작국악

 
[유니온프레스] 국악음반박물관장 노재명 전통음악 음반 이야기 ‘반락’ 행사 보도
  rojmbanrakp2013.jpg(사이즈:99.7KByte)
2013년 3월 23일 09:57:25 [유니온프레스]
국악음반박물관장 노재명 전통음악 음반 이야기 ‘반락’ 행사 보도

최상진 기자, "희귀한 소리, 권하고픈 명곡 가득한 ‘반락, 그남자의 음반이야기’"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 한국문화의집 코우스(KOUS)에서 3월 27일(수)부터 4월 24일(수)까지 격주 수요일에 <반락, 그남자의 음반이야기>를 진행한다.
<반락, 그남자의 음반이야기>는 우리 시대 기록 음악의 산 증인인 최상일, 노재명, 이진원 3인이 무대에 서서 ‘제 스스로 깊어진’ 소리와의 인연을 털어 놓으며, 권하고픈 명곡을 함께 감상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이번 공연에 가장 주목할 점은 그들이 기필코 찾아낸 우리시대 마지막 한 장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 청계천과 장안평, 지방의 남루한 고물상을 전전하며 발품으로 명품을 찾는 격정에 찬 여행담, 그 마지막 단서로 잃어버린 소리의 역사를 복원해 가는 노정기(路程記)이자 마지막 음반에 담긴 참으로 그럴 수 없는 소리를 직접 듣는 유례없는 소리판이 벌어질 예정이다.
첫 무대는 익히 아는 라디오 프로그램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를 기획한 최상일 MBC PD가 연다.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붐마이크로 잡아 올린 살아서 펄떡거리는 산간 촌로의 소리들이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일화와 함께 무대에 오른다.
두 번째 무대의 출연자는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장이다. 국악음원 이외에도 손기정의 ‘올림픽 마라톤 우승 소감’, 신중현의 ‘전기기타산조’ 등 진귀한 기록들이 눈앞에 펼쳐질 예정이다.
마지막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이진원 교수가 복각음원의 진수를 보여줄 예정이다. 대금산조 창시자 박종기 명인의 미공개 음원을 시작으로 최초로 녹음된 풍각쟁이 음악 기러기타령‘,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 등이 턴테이블 위에서 돌아간다.
연출을 맡은 진옥섭은 “국악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곧바로 빠져드는 시간이 될 것이며, 좀 안다면 잃어버린 옛 소리의 위력과 그것을 단서로 음악사의 간극을 메워가는 치밀한 시간의 퍼즐놀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최상일의 음반이야기 ‘AFKN과 베틀노래’는 3월 27일(수), 노재명의 음반이야기 ‘청계천에서 실크로드까지’는 4월 10일(수), 이진원의 음반이야기 ‘과학도 퉁애에 빠지다’는 4월 24일(수) 각각 저녁 8시에 서울 대치동 한국문화의집 KOUS에서 진행된다.

2013-04-27
 

Powered by GodoTech
Copyright (C) 2000 국악음반박물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