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행사 인쇄물 관리번호 MILIVEP-0088
* 한국고음반연구회 주최 제17회 한국음반 전시회-생과 사를 다룬 한국전통음악 음반·자료 특별전
(아기 탄생을 기원한 지앙맞이에서부터 망자의 넋을 위로한 무혼굿 등... 인간사 따뜻하게 어루만져준 한국의 음악들)
전시회 일시: 2006.12.3~12.17(매주 일요일 11~17시 개관, 관람료 무료)
전시회 장소/전시 자료 제공: 국악음반박물관(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수입리 791, hearkorea.com)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립국악원.
-------------------------------------------------------------------------------------------------------------
<< 생과 사를 다룬 한국전통음악 음반·자료 특별전 >>
한국고음반연구회가 매년 정기적으로 열고 있는 한국음반 전시회의 금년 주제는 ‘생과 사를 다룬 한국전통음악’ 음반·자료로 정했다.
아기 탄생을 기원한 지앙맞이에서부터 망자의 넋을 위로한 무혼굿 등... 인간사 내내 따뜻하게 어루만져준 한국의 음악들이 담겨있는 음반과 악기, 사진 등의 관계 자료를 한 데 모아 보았다.
이를 통해 전통사회에서 우리네 조상들이 지녔던 아름다운 마음과 지혜, 희노애락 속에서 지녔던 멋스러움을 느껴보고 향후 관련 분야의 학술자료로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한다.
지금까지 기록, 촬영된 녹음 및 비디오, 기타 자료 등 40종의 희귀 자료를 추려 특별전을 마련하였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란다.(자료 제공, 해설:노재명)
[유성기음반]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SP-0017
Columbia 40011-A(20661) 京畿流行歌 초가망·넉들어온다 表蓮月 申海中月 長鼓朴春載 피리高載德 해금池龍九
Columbia 40011-B(20662) 京畿流行歌 대감노리 表蓮月 申海中月 長鼓朴春載 피리高載德 해금池龍九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SP-0437
Okeh Record 31164(K2130) 西道俗謠 新作배뱅이굿(七) 文藝部構成 崔順慶 伴奏오케-古樂伴奏團
Okeh Record 31164(K2131) 西道俗謠 新作배뱅이굿(八) 文藝部構成 崔順慶 伴奏오케-古樂伴奏團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SP-1219
Columbia 40370-B(21499) 진양 追憶 林방울
[10인치 LP]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10LP-0144
배뱅이굿 唱:李殷官·高白花
現代레코-드公社 HL-118(10인치 1LP), 1960년대 초반 녹음 제작. 앞표지에 이은관 사진 수록, 뒷표지에는 수록곡 가사가 실려있다.
[12인치 LP]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12LP-0515
빅타 유성기원반 시리즈(9) 한국의 종교음악(1) 신수덕 남도무속음악
(주)서울음반 SXCR-094(1LP), 디자인:유형배, 음반 기획.선곡:노재명, 음반 해설:이보형, 사설 채록:이자균(해설서 12쪽 수록), 1993년 8월 30일 유성기원반(마스터 6SP) 복각 제작. 앞표지 그림 사진 제공:간송미술관(신윤복의 巫女神舞). 심의번호:9308-G529.
앞면) 신수덕 남도무속음악(1935.11 녹음) 1.명당경(3:08) 2.천수경(3:02) 3.앉은반(3:14) 4.장암염불(2:56) 5.지도서(6:20)
뒷면) 신수덕 남도무속음악(1935.11 녹음) 1.고산염불(6:32)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12LP-0787
배뱅이굿 唱:李殷官 助唱:李銀珠·安翡翠·沈明花
대한음반제작소(株) SLD-1017(1LP), 1969년 스테레오 녹음, 1969년 8월 9일/1978년 10월 20일 제작. 녹음기술 담당:이청. 앞표지에 이은관 사진, 뒷표지에는 배뱅이굿 해설 수록. 심의번호:7802-756.
[카세트테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MC-0631
상여소리(1) 충북지방 소리
소리:서춘식·권혁수·신재석·윤상용
새샘음반 SSR-024(1MC), 1994년 제작. 녹음시기 미상. 총 수록시간:49분 56초. 기획:김영월. 심의번호:9404-S264. 이는 1998년에 ‘상여소리(1) 충청도지방 소리:서춘식·권혁수·신재석·윤상용’이라는 컴팩트디스크(명상기획/크라운음반 MSD-031, 1CD)로 재발매되었다.
Side A) 1.상여소리(26:00)
Side B) 1.상여소리(26:00)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MC-0632
상여소리(2) 경상도지방 소리
소리:서춘식·조완영·정명석
새샘음반 SSR-025(1MC), 1994년 제작. 녹음시기 미상. 총 수록시간:48분 3초. 기획:김영월. 심의번호:9404-S264. 이는 1998년에 ‘상여소리(2) 경상도지방 소리:서춘식·조완영·정명석’이라는 컴팩트디스크(명상기획/크라운음반 MSD-032, 1CD)로 재발매되었다.
Side A) 1.상여소리(26:00)
Side B) 1.상여소리(26:00)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MC-0633
상여소리(3) 전라도지방 소리
소리:서춘식·조완영·정명석·홍승옥·장상용
새샘음반 SSR-026(1MC), 1994년 제작. 녹음시기 미상. 총 수록시간:50분 48초. 기획:김영월. 심의번호:9404-S264. 이는 1998년에 ‘상여소리(3) 전라도지방 소리:서춘식·조완영·정명석·홍승옥·장상용’이라는 컴팩트디스크(명상기획/크라운음반 MSD-033, 1CD)로 재발매되었다.
Side A) 1.상여소리(26:00)
Side B) 1.상여소리(26:00)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MC-0634
상여소리(4) 강원도지방 소리
소리:서춘식·신재석·이득세·권혁수
새샘음반 SSR-027(1MC), 1994년 제작. 녹음시기 미상. 총 수록시간:51분 33초. 기획:김영월. 심의번호:9404-S264. 이는 1998년에 ‘상여소리(4) 강원도지방 소리:서춘식·신재석·이득세·권혁수’라는 컴팩트디스크(명상기획/크라운음반 MSD-034, 1CD)로 재발매되었다.
Side A(25:52) 1.상여소리 2.달고소리
Side B(25:52) 1.상여소리
[비디오테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VHS-0190
전통문화시리즈 巫俗
국립영화제작소/(주)텔레무비(TELEMOVIE CORPORATION) TM-013(1VHS), 1990년 제작. 배포 허가:문공부 예이 1726-11639. 상영시간:20분. 판매가격:7,000원. 구성:김태곤, 감독:도상선, 촬영:윤병일·황준식. 1970년대 촬영·녹음. 신석남·김석출·김유선·김금화·이용우·안사인·박병천 등의 굿 동영상 수록.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VHS-0593
무형문화재 어장 문구암 스님 嶺南梵音梵唄集(1) 재대령
범음범패제작연구소 제작, (주)에덴프로덕션 제조, 1999년 7월 제작(1VHS). 상영시간:68분, 등급분류번호:제9907-V53, 기획:이현담, 특별 보시가:25000원. 앞표지에 문구암 스님 사진 수록.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VHS-0594
무형문화재 어장 문구암 스님 嶺南梵音梵唄集(2) 관욕
범음범패제작연구소 제작, (주)에덴프로덕션 제조, 1999년 7월 제작(1VHS). 상영시간:68분, 등급분류번호:제9907-V54, 기획:이현담, 특별 보시가:25000원. 앞표지에 문구암 스님 사진 수록.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VHS-0595
무형문화재 어장 문구암 스님 嶺南梵音梵唄集(3) 전시식·배송
범음범패제작연구소 제작, (주)에덴프로덕션 제조, 2000년 1월 제작(1VHS). 상영시간:90분, 등급분류번호:제2000-V27, 기획:이현담, 특별 보시가:25000원. 앞표지에 문구암 스님 사진 수록.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093~0102(10DVC)
1997.3.1.17:00~3.2.10:00.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영동4리 김정관 자택 앞마당에서 치루어진 송동숙 김미향 김장길 송명희 김명광 빈순애 일행의 김재도(남) 권미영(여) 망자 오구굿<1>~<10>
이 굿은 1997년 양력 3월 1일(음력 1월 22일)부터 양력 3월 2일(음력 1월 23일)까지 1박 2일간 밤새워 거의 쉼없이 진행되었다. 송동숙 일가가 굿을 하였고 주무는 송명희가 맡았다. 총각으로 죽은 김재도 망자는 김정관의 아들로서 1967년(양띠) 생이며 1996년에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이 오구굿을 통해 김재도 망자와 영혼 혼인식을 올린 신부 권미영 망자는 신랑과 동갑으로 강원도에서 살다가 비슷한 시기에 죽었는데 오구굿을 앞둔 신랑 측에서 백방으로 수소문하던 중 알게 되어 인연을 맺게 되었다. 이 굿의 첫거리인 부정굿과 골매기굿 전반부는 현장에 늦게 도착하여 촬영하지 못했다. 이 굿을 치루기 위해 유가족이 무당과 양중에게 준 계약금은 400만원이며 무속인들은 굿을 시작하기에 앞서 부주금으로 20만원을 끈에 꿰서 굿판에 걸어놓았다.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104~0108(5DVC)
1997.3.18.10:00~19:00.서울시 서대문구 봉원동 1번지 봉원사에서 치루어진 정지광 스님 열반 추모 49재 영산재<1>~<5>
박송암 장벽응 이일응 김구해 마일운 김혜경 김학성 이기봉 이운봉 김법현 한동희 스님 일행.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113
1997.4.12.14:00~16:40.서울시 송파구 잠실 석촌호수 서울놀이마당에서 열린 북한무형문화재전 가운데 정대복 일행의 평안도 다리굿.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116~0118(3DVC)
1997.5.3.15:00~17:40.서울시 송파구 잠실 석촌호수 서울놀이마당에서 열린 김유감 한부전 이상순 김점석 허용업 일행의 서울 새남굿<1>~<3>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146~0160(15DVC)
1997.5.27.16:00~5.28.14:00.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7리 항구에서 치루어진 조기장 이규해 망자 오구굿(김석출 일행)<1>~<15>
이 굿은 1997년 양력 5월 27일(음력 4월 21일)부터 1997년 양력 5월 28일(음력 4월 22일)까지 1박 2일간 밤새워 거의 쉼없이 진행되었다.
김석출 김유선 김용택 김영숙 김영희 김동연 김동언 김동열 김정희 김정국 오택근 제갈태오 일행이 굿을 하였는데 그 중에서 주무는 김영희가 맡았다.
이규해 망자는 후포의 ‘태양호’라는 배의 조기장이었는데 1997년 양력 3월에 선원 11명과 함께 게를 잡으러 나갔다가 배가 뒤집혀 5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평상시보다 3배 가량 많은 게를 잡아 무리하게 싣고 돌아오다 배가 뒤집혔는데 이때 5명은 헤엄쳐 살아오고 7명은 그만 익사했다 한다.
그래서 1997년 양력 5월에 여러차례의 오구굿과 용왕굿을 하였는데 여기에 수록되어 있는 영상은 바로 그 수차례 치루어진 오구굿 가운데 하나이다.
둘째날인 1997년 양력 5월 28일 아침 7~9시 무렵 무녀와 양중들이 피곤에 지쳐 잠들어 약 2시간 가량 굿을 하지 않았다.
다만 밤에 홀로 휴식을 취한 김석출만이 굿판에 나와 시무염불을 간략하게 마친 후 마을 노인들과 농담을 하며 담소를 나누기도 하고 자신의 한많은 과거를 들려주기도 했다.
그러자 구경꾼들은 김석출에게 왜 굿을 하지 않느냐고 항의를 했다. 이에 김석출은 갑자기 상기된 얼굴로 긴장을 하면서 장고채를 잡고 다시 직업의식 투철한 양중의 자세로 돌아가 주민들의 노름굿 반주를 하기 시작했다.
연로한데다 몸이 상당히 쇠약한 중에도 김석출은 시무염불에다 그렇게 노름굿을 포함하여 약 3시간 넘게 홀로 굿판을 빛냈다.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202∼0209(8DVC)
1998.3.14.15:00∼20:00, 1998.3.15.09:00∼15:30. 전남 화순군 능주면 잠정리 187-1 조도화 자택과 그 근처 음식점(북경루), 능성(능주의 옛지명) 신청 자리(잠정리 228번지)에서. 조도화의 증언과 음악<1>∼<8> 보충 증언:양분녀(조도화의 처), 촬영/대담: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237~0238(2DVC)
1998.8.30.16:00~18:00.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 전당 한국정원 야외 무대.
전라도 순천 삼설양굿 길닦음(30여분)-본굿(60여분)-관중 뒤풀이(약간)<1>~<2>
무녀:박경자·김명자·선옥녀, 징:박모씨(당시 고흥 거주), 장고:하규남(당시 벌교 거주), 피리·꽹과리:노효영(당시 벌교 거주)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361~0365(5DVC)
2002.6.1.16:00~21:00.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 세화리 바닷가 오일장시장 광장.
이중춘·문순실·한생소·강순선·정태진·이승순·조정애·김순실 일행 제주 무혼굿<1>~<5>
준비 과정, 기념 공연, 제주 해녀 항쟁 기념비(세화) 장면, 초감제-새다림-문열림-분부 설음-신청제-추물공연-혼 건지기-영혼을 시황 앞에 모셔옴-조상님 불러서 즐겁게 노는 거리-요왕질치기-저승질치기-사자본풀기-소지-마을 주민들 운세 봐주기 등 수록. 이 무혼굿은 1932년 해녀 항쟁 희생자들을 위한 굿이다.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405
2005.4.16.16:40~18:40.전남 진도군 진도읍 동외리 중앙아파트 강준섭, 김애선 증언과 노래. 진도 다시래기 음악과 증언 수록. 촬영, 대담: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6V-0405~0407(3DVC)
2005.4.17.11:30~14:30.전남 진도군 의신면 만길리 채정례, 함인천 증언과 음악<1>~<3> 씻김굿, 지앙맞이(제왕맞이, 지왕맞이) 등에 대한 음악과 증언 수록. 촬영, 대담:노재명.
[디지털오디오테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DAT-0114~0115(2DAT)
1984.4.13.서울 공간사랑. '84 통영 오구 새남굿 공연 실황<1>~<2>
제석, 넋, 서낭, 손님, 말미초장, 시설 수록. 이보형 현장 녹음자료 복사본.
[컴팩트디스크]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CD-1981~1991
한국음악선집 제25집 한국의 굿 No.4 제주 칠머리당굿
연주자:김윤수, 이용옥(이정자), 진부옥, 한생소, 강순선, 김연희, 이중춘.
국립국악원 제작 발행, KBS-1FM 녹음 기획 발행, 국악춘추사/(주)서울음반 제조 SRCD-9143-1~11(11CD 박스물), 1991년 12월 KBS 제16스튜디오 녹음, 2000년 12월 비매품 한정판 제작. 연출:한신평·이순철, 편집:이상용, 엔지니어:이선광·정희광, 표지 디자인:Design FEEL, 음반 제작 진행:박일훈·송혜진·이윤경. 총 24쪽짜리 국·영문 해설서(글:조영배·이윤경, 연주자들 사진 수록) 내장.
[CD 11] 2.영감놀이(3:53)
[비디오시디]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CDROM(VIDEOCD)-0042
전라남도 무형문화재(예능편 7)
전라남도 문화체육과 기획 제작, 비엔비프로덕션 제조 LGCD-6(1VIDEO-CD), 1995년 9월 비매품 한정판 제작. 공연윤리위원회 심의번호:9509-CV144-6. 연소자 관람가. 총 52분 4초 수록.
1.진도 씻김굿(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2.진도 다시래기(중요무형문화재 제81호)
[악기, 사진, 기타 자료]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100여년 전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땅재주꾼 광대 모습, 한국의 상여 꼭두.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100여년 전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난쟁이 광대 모습, 한국의 상여 꼭두.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100여년 전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대금을 연주하고 있는 장면의 한국 상여 꼭두.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대금 연주 형상의 한국전통상여 장식 나무조각품(1960년대)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피리 악공 모습 등이 포함된 한국의 상여 꼭두. 1970년대 제작. 금속 재질.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앉은굿에 쓰인 100여년 된 북과 북채.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제주도 무속에 쓰인 수십년 된 징과 징채.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풍물굿, 회심곡, 무속 등에 쓰인 수십년 된 꽹과리.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조선시대 巫女, 私婢, 院婢, 校婢, 良人女, 士夫婦女 등을 조사 기록한 관문서.
가로 50cm, 세로 42cm.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판소리 관계 심청전 필사본.
세필, 국문, 1915년 12월 6일 기록본. '겡상뷱도 상쥬균 즁동몐 오상이 김복원'이라는 기록 있음. 가로 20.5cm, 세로 32.5cm. 총 80쪽(앞뒤 표지 포함). 3쪽 좌측 하단 약간 파손. 나머지 온전. 판소리 눈대목별로 단락을 나누어 각 대목의 제목을 기록해 놓은 것이 특이함. 1986년 12월 19일 노재명 구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자료
이동백을 비롯한 근대 5대 명창 추모제 기념 단체 사진(1950년).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PHOTO-04788
1997년 3월 18일 10:00~19:00 서울시 서대문구 봉원동 1번지 봉원사
장벽응 박송암 이일응 김구해 마일운 김혜경 김학성 이기봉 이운봉 김법현 한동희 스님 일행 정지광 스님 열반 추모 49재 영산재 모습 사진.
왼쪽부터 차례로 한동희 박송암 이일응 장벽응 스님. 촬영:노재명.
*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소장 관리번호 MIPHOTO-04924
1998년 3월 10일 19:00~24:30 서울시 성북구 정릉3동 산98번지 삼각산 약수암
채정례(무녀) 함인천(징) 강정태(장고) 일행 진도 씻김굿 모습 사진. 촬영:노재명.
|
2010-01-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