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earkoreaTV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국악 음반    
매체별 유성기음반(SP) | 10인치 장시간음반(LP) | 12인치 장시간음반(LP) | 컴팩트디스크(CD) | 카세트테입(MC) | 디지털오디오테입(DAT) | 릴테입(Reel Tape)
마이크로카세트테입(MCT) | VHS 비디오테입 | 8mm 비디오테입 | 6mm 비디오테입 | 레이저디스크(LD) | 시디롬(CD-Rom) | 디브이디(DVD) | 기타자료
장르별 단가 | 판소리 | 창극 | 가야금병창 | 거문고병창 | 산조독주 | 산조합주 | 산조기타자료 | 시나위독주 | 시나위합주 | 삼현육각 | 사관풍류 | 사물놀이
민요연주 | 봉장취 | 민속무용 반주음악 | 기타민속기악 | 정가 | 정악기악독주 | 정악기악합주 | 민요 | 불교음악 | 무속음악 | 민속놀이ㆍ연극 | 풍물
전통춤 | 신작국악

 
MILIVEP-0025 김용배 일행 사물놀이 공연 전단(1978년 함석헌 생일 축하 모임)
  ham.jpg(사이즈:25.0KByte)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행사 인쇄물 관리번호 MILIVEP-0025
1978년 3월 18일 서울 흥사단본부 강당에서 열린 사물놀이 공연 전단
함석헌 77회 생일 축하 모임 초대장(총 4면)
2007년 5월 2일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구입.

사물놀이 발생 초기의 희귀한 공연 안내 인쇄물. 여기에는 연주자 이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데 김용배(꽹과리) 김덕수(장고) 일행인 것으로 보임.(2007.5.9.10:30~10:40 김덕수 증언)
이 전단물과 초기 사물놀이 명인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하여 사물놀이 유래와 초기의 주요 공연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이 정리됨.

* 1978년 2월 서울 공간사랑에서 열린 제1회 공간 전통음악의 밤: 김용배(꽹과리) 김덕수(장고) 최태현(북) 이종대(징) 웃다리풍물 공연.
* 1978년 3월 서울 흥사단본부 강당에서 열린 함석헌 77회 생일 축하 모임: 김용배(꽹과리) 김덕수(장고) 일행 사물놀이 공연.
* 1978년 4월 서울 공간사랑: 김용배(꽹과리) 김덕수(장고) 일행 사물놀이 영남풍물 공연.
* 1979년 5월: 김용배(꽹과리) 김덕수(장고) 이광수(북) 최종실(징) 사물놀이 공연.
* 1978년: 사물놀이 공연이 많지 않았음. 이때 사물놀이는 김용배(꽹과리) 김덕수(장고), 그리고 최태현, 이종대, 최종석(최종실 형)이 때에 따라 번갈아 가담하였다 함.(2007.5.9.10:30~10:40 김덕수 증언)

지금까지 학계에선 1978년 4월 공간사랑 공연 직후 심우성 등이 이날 공연의 성공을 축하하며 김용배, 김덕수 일행에게 '사물(四物)놀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번에 발견된 함석헌 77회 생일 축하 모임 초대장에 적힌 공연 기록에 의하면 이미 1978년 3월 18일에도 사물놀이라는 명칭이 쓰였음을 알 수 있음.(국악음반박물관 노재명)

2010-01-20
 

Powered by GodoTech
Copyright (C) 2000 국악음반박물관 All Rights Reserved.